earticle

논문검색

유아 토론수업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원문정보

A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ment on Young Children’s Discussion Model

이선영, 김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urveyed young children’s discussion status and young children teachers’ perceptions for development on young children’s discussion model.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32 questions which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 total of 21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χ2-test using SPSS Win 17.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6.2% of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young children’s discussion but 85.8% have had no experience about young children’s discussion. Secondly, 33.5% of the teachers have not heard of young children’s discussion and 58.5% of the teachers have not implemented young children’s discussion. Third, the teachers felt that they were not able to perform young children’s discussion due to their lack of adequate information in young children’s discussion methods, themes and evaluation methods. Fourth,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young children’s discussion status in practice time, practice method, evaluation method, supports and perception about young children’s ideal discussion. They required a variety support and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s discussion model.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 토론수업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유아 토론수업의 실태와 토론수업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3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영유아교육기관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의 96.2%가 토론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85.8%가 토론과 관련된 연수 경험이 없고, 33.5%가 토론수업에 대해 모르고 있으며, 58.5%가 토론수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토론수업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토론수업 방법, 주제, 평가방법 등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실제 토론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 실시 시기, 실시 방법, 평가 방법, 지원 내용에 대해 실태와 이상적인 토론수업에 대한 인식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 토론수업이 잘 실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토론수업모형 개발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Ⅲ. 연구결과
  1. 토론수업에 대한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영 Sun-Young Lee. 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김지영 Ji-Young Kim.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