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형문화재의 개념 확장과 전통문화 보전·활용 - 충남 서천군 마서면의 전통문화 전승을 사례로 -

원문정보

Preserving and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by Expanding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Focused on the practices of traditional culture of Maseo-myeon, Seocheon-gun, Chungnam province -

류호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ditional culture is the very history which the community members have formed and maintained. It’s not just old ones, but the base for creating a new culture. We can live a richer life through traditional culture. In recent yea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 by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is becoming much more active. We are newly aware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cluding traditional culture. In contrast, we designate only som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consider only the traditional heritage which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be important. Meanwhile, traditional culture including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being rapidly destroyed due to socio-cultural changes. We have to parallel the two policie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ne i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being transmitted by designating as 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other is to establish the traditional culture archives in order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which is broken.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ies by designa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many as possible. And we should expand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encompass the entire traditional culture. As such, we take advantage of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traditional culture when we enforce the customized policie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and its situation.

한국어

전통문화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함께 형성하고 유지해온 역사 이자 삶 그 자체이다. 단순히 옛것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을 더욱 풍부 하게 해주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기반이 되어주는 등 다양한 가치들 담고 있 는 것이 전통문화이다. 최근에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문화유산 활용 정책 이 활발해지고 민간 참여도 점차 활성화되는 등 전통문화를 포함하는 문화재의 가 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비해 전통문화 중 일부만이 후세에 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정받아 무 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통문화 중에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에만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그러는 사이 사회문화적 변동 등으로 인해 전통문화는 급격히 소멸되고 있으며,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들도 예외가 아 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현행 무형문화재 제도에 더해 실물 자료 수 집·보존과 디지털 자료를 포함하는 전통문화 아카이브 구축을 병행해야 한다. 전 통문화 아카이브를 무형문화재 보전을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아 니라, 전승자를 중심으로 하는 무형문화재 정책과 전통문화 아카이브를 두 축으로 하여 전통문화 및 무형문화재 보전의 실효성을 높이고 그 지평을 넓혀가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새로 시행되는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근 거하여 무형문화재 지정을 가능한 한 확대하는 등 무형문화재 정책을 강화하고, 전통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것으로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확장함으로써 미래적 관 점에서 전통문화를 더욱 풍부하게 보전할 수 있다. 이처럼 전통문화의 특성과 그 것의 전승 실태에 적합한 맞춤형 정책을 펼칠 때 전통문화 보전·활용은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무형문화재 전승·보전과 미지정 전통문화
  1. 전통문화와 무형문화재의 의미
  2. 미지정 전통문화 보전과 환경 변화
 Ⅱ. 미지정 전통문화 사례와 전승·보전 실태
  1. 마을 이름과 마을 내 지명 전승
  2. 세시풍속 전승과 그 의미
  3. 일생의례의 지속과 단절
 Ⅲ. 무형문화재로서 전통문화 보전과 활용
  1. 전통문화 보전과 아카이브
  2. 무형문화재의 개념 확장과 제도 개선
  3. 무형문화재와 전통문화 보전·활용 방안으로서 아카이브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류호철 Ryu, Ho-Cheol. 안양대학교 교수, 문화재 정책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