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3세기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에 대한 검토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 건국설’에 대한 검토

이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is the explanation about which The partial royalty of The Buyeo who had been attacked by Mu `ro'ng Xianbei A.D 285 and moved to Okjeo established new kingdom’DongBuyeo’ not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can be classified with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BukOkjeo area in 3C theory' and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NamOkjeo area in 3C theory'. This two explanation understood ‘Maegu’ which is shelter of King Dongcheon recorded in 『Sanguo' Zh`』 as a part of ‘Okjeo’ and regarded ‘Miguru’ which recorded in 「epitaph of King Gwanggaeto」 as the same place with ‘Maegu’ And this understanding was made as a basis of argument of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But, After deeply considering about ‘Maegugok’ written in 『Samguk Sagi』, it is revealed that Maegugok quite have nothing to do with ‘Okjeo’ and ‘Miguru’. Furthermore, We have proved that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hasn’t literary grounds at all. In other words,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is just deduction from thinking which the partial royalty of The Buyeo had not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y and stayed ‘Okjeo’. Today,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has been main opinion in our academic world. So, We are emphasizing in this report that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DongBuyeo at Okjeo area in 3C theory' has many flaws and, in this context, ‘DongBuyeo’ should be reinterpreted in new way.

한국어

‘3세기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은 285년에 慕容鮮卑의 强襲을 받아 沃沮로 피 난했던 일부 夫餘의 왕족들이 復國된 본국에 귀국하지 않고, 그곳에 殘留하여 東夫 餘를 새로 건국했다는 설이다.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 건국설’은 크게 ‘3세기 北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과 ‘3세기 南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두 설에서는 『三國志』에 기재된 동천왕의 도주지인 買溝를 옥저 일대의 지명 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매구를 「廣開土王碑文」에 기재된 東夫餘의 지명인 味仇婁 를 동일한 곳으로 파악하여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설’의 주요 논거로 삼았다. 그 러나 『三國史記』에 기재된 買溝谷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매구곡은 옥저와 미구루 와 밀접한 관련이 없음을 논증하였다. 나아가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 건국설’의 기반은 부여 왕족들의 일부가 귀국하지 않고 옥저 지역에 잔류했을 것이라는 발상으로부터 추론을 거듭한 것인데, 이는 문헌적 근거가 전무함이 논증되었다. 현재 ‘3세기 옥저 지역 동부여 건국설’ 은 학계의 다수설을 점하고 있는데, 그것이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기에 동부여에 대해 주도면밀한 새로운 해석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강조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3세기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의 현황과 쟁점
 Ⅲ. ‘3세기 沃沮 地域 東夫餘 建國說’의 한계와 새로운 모색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민수 Lee, Min-su.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