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래 과학기술인재의 경력단계별 핵심 역량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원문정보

An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in the Career Path for Future Science and Engineering Talent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홍성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key attributes and core capabilities required for future scientists and engineers. The core competencie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talents reflects the process of dynamically changing core capabilities required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ir pursuit of science, technology or engineering careers. To derive these core competencies, the capability model of scientists and engineers has been developed through two rounds of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and Del-Phi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er Development Framework” of the U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ladder of career development is, the more capability elements are required. The higher you go up along the career stage, there is a clear tendency of the focus being shifted from individual and academic capability to such capability elements as research management capability, collaborative activities or capability to diffuse research outcome. The key policy suggestions are to promote education focused on enhancing fundamentals and learning capabilities and to build social education system corresponding to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tal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미래 과학기술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핵심 역량에 대해 경력단계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의 핵심 키워드를 과학기술인재의 관점 에서 파악한 후 과학기술인재의 핵심역량 요소를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역량요소들이 과학기술인 재가 커가는 경력단계상 어떤 부분에서 더 중요해지는 지를 경력단계별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을 위한 핵심적인 연구방법론은 전문가 FGI 및 델파이 조사이며, 과학기술인재의 역량 모형은 영국의 연구자 역량개발 프레임워크(RDF)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경력단계가 고도화될수록 점점 더 많은 핵심역량 요소가 필요해진다. 둘째, 경력단계가 고도화될수 록 개인적인 학문 능력과 연구성과 창줄 역량 쪽에서 연구 소양 및 관리와 공동 활동 및 성과확산 역량 으로 이전해 가는 특징이 뚜렷하다. 셋째, 대학원생 등 과학기술인재 입문 단계에서 중요한 역량은 탐구 심, 지적 도전의식, 열정 그리고 인내심 등으로 기초적인 역량의 습득을 위해 갖추어야 할 태도의 중요 성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서도 지속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넷째, 신진연구자 단계에서는 지식의 축적 도 중요하지만 이의 활용을 강조하는 정보처리력 및 인지력 영역에서의 역량 요소가 크게 늘어난다는 점이 부각된다. 다섯째, 중견연구자로 올라갈 경우에는 팀을 이루고 협력관계를 구축 즉, 네트워킹을 하 여 성과를 확산하면서 사회적 기여도 해야 하는 종합적인 인테그럴 역량 요소가 크게 강조되는 특징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력단계별 역량체계에 맞춰 이공계 대학교육의 패러다임도 굳건한 기초지식 및 역량 의 배양과 더불어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니라 전문가로서 커 나갈 수 있는 학습역량을 갖춰주고 스스 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하는 데 맞춰져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연구방법론
 Ⅲ. 미래 과학기술 핵심 키워드와 퓨처스 휠
  1.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의 핵심 키워드
  2. 과학기술인재 퓨처스 휠
 Ⅳ. 미래 과학기술인재의 경력단계별 핵심 역량
  1. 연구인력 역량 모형
  2. 미래 과학기술인재의 경력단계별 핵심 역량요소
 Ⅴ. 결론: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성민 Seongmin Ho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