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토지이용에 따른 서울특별시 진입경관 특성 분석 - 행정구역 경계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Analysis for Characteristics of Entrance Landscape of Seoul according to land use - Focu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y

윤선근, 최용락, 황재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ntrance landscape of Seoul according to land use. Entrance landscape’s factors were extracted from related-theories. Target point for analysis was narrowed to the road above 'Ro' scale of Road Name Address Act, in Republic of Korea, high way and expressway. Final target point was the boundary part where people can enter into Seoul and where the roads can intersect. Pictures for analysis were extracted through still shot method after shooting using camcorder. If new factors were found from site images, they were modified to apply existing one’s features to determine final factors. Each factor was given a weighted value depending on its influence over landscape. Setting the weighting was decided through taking professor survey analysis. If a factor was observed in one photo, its area percentage was acquired. Then, a value came out from multiplying the factor's percentage by its weighting. Lastly, landscape score of each photo was created from a sum of the values. To identify landscap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and use, land use condition was searched. Then target point was categorized by land us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etermined using landscape score.

한국어

현재 미국,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복합구조의 실용화를 위한 보-기둥 접합부의 응력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복합구조에 대한 보-기둥 접합부의 거동과 구조적 성능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면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각 접합부 상세가 접합부 거동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만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응력전달기구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제 구조물에서 보-기둥 접합부에 직교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보-기둥 접합부의 전단저항기구를 모델화하면서도 직교보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교보가 복합구조 보-기둥 접합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전단저항기구를 모델화하여 보-기둥 접합부의 전단강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 연구1)에서 직교보가 있는 복합구조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대상으로 전단강도를 산정하여 구조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진입경관의 개념 및 구성요소
 3. 분석의 틀
  3.1 진입경관 요소 선정
  3.2 현장조사
  3.3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가중치 선정
  3.4 분석방법 선정
 4. 진입경관분석
  4.1 지점별 경관 분석
  4.2 토지이용별 경관 분석
 5. 결론
  5.1 연구의 종합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선근 Yoon, Seon-Geun. 충북대학교 환경ㆍ도시ㆍ화학공학부 석사과정
  • 최용락 Choi, Yong-Nak. 충북대학교 환경ㆍ도시공학과 박사수료
  • 황재훈 Hwang, Jea-Hoon.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