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Urban Tissue Characteristics of the Piazza del Campo in Siena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Siena in Italy, is a representative city of the medieval, is how can be formed as the citizen municipal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iena in the aspect of organized city and that the Siena Piazza del Campo is how to have any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Urban tissue, how to form and reinforce their communities as the nucleus of the Urban tissue. By the analysis, first of all, the Siena’s Urban tissue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ree communities. The street formed the axis of the city and facilitated the access and connection with the Piazza del Campo located the center of the city. Second, the site has been reflected symbolically the value pursuing the autonomous civil society based on the dual direction about the street and the square. Third, the buildings have had the consistency in the city with the closed structure and the city hall has reinforced the symbolism as the vertical element. As a result, the Siena’s Urban tissue's have had the homogeneity through the close interrelationship. Also, we know that the square as the nucleus of the center of the city, that is the ordinary place encompassing the lives of the citizens at that time and is the space symbolizing the community.
한국어
본 연구는 도시조직적인 관점에서 중세의 대표적인 도시인 이탈리아 시에나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시민자치도시로서 어떻게 도시조직이 형성되었으며, 도시조직의 핵으로서 시에나 캄포광장이 주변 도시조직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그들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강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에나의 도시 조직은 세 개의 공동체가 연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며, 가로는 도시의 축을 형성하며, 도시의 중심에 위치한 캄포광장의 접근과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둘째, 필지는 가로와 광장에 대한 이중적 방향성을 바탕으로 시민자치사회가 추구한 가치를 상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셋째, 건축물들은 폐쇄적 구조와 함께 도시 내에서 일관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청사는 수직적인 요소로서 상징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에나의 도시 조직들은 밀접한 상호 관계를 통해 동질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광장이 도시의 중심인 핵으로서 당시 시민들의 삶을 담아내는 일상적인 장소이자 공동체를 상징하는 공간으로서 통합과 단결을 위해 철저히 계획된 시민광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도시조직의 개념 및 선행연구 고찰
2.2 분석의 틀
3. 도시형성 배경과 도시조직 특성
4. 캄포광장과 주변 도시조직의 관계성
4.1 가로
4.2 필지
4.3 건축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