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증 장애 아동의 의미 있는 음악치료 경험

원문정보

Meaningful Experiences of the Severely- Impaired Children in Music Therapy

양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aningful experiences of the severely-impaired children in music therapy. The individual music therapy sessions for five severely-impaired children were conducted weekly for 12 weeks by a primary therapist and two co-therapists. All the session were recorded on video tapes. Then, these therapists reviewed each video tape and session logs, and chose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music therapy for each child. The researcher as a primary therapist analyzed the data into six categories: accepting, being validated, leading, interacting, flexible playing, and spontaneous movement.

한국어

이 연구는 음악치료 과정에서 중증 장애 아동들의 의미 있는 경험이 무엇인지를 조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12주 동안 다섯 아동들의 개별 세션 전 과정이 비디오로 녹화되었다. 그 후, 연구자인 주 치료사와 보조치료 및 비디오촬영을 번갈아 수행한 인턴 치료사 A와 B가 녹화된 비디오테이프와 치료일지를 보며 아동들의 의미 있는 음악치료 경험을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자신을 포함한 다섯 명의 치료사들이 기술한 내용으로부터 의미범주를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이 치료사의 음악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 아동 자신의 음악을 치료사로부터 인정받는 것, 아동이 주도적으로 음악을 이끌어 가는 것, 아동과 치료사가 음악적으로 주고받는 것, 융통성 있게 음악을 연주하는 것, 음악활동 안에서 자발적으로 신체를 움직이는 것이 음악치료 과정에서 중증 장애 아동에게 의미 있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방법
  참여자
  음악치료 과정
  데이터수집 및 분석절차
 결과
  수용하기
  승인받기
  리드하기
  주고받기
  융통성 있는 음악연주
  자발적 신체 움직임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저자정보

  • 양은아 Yang, Eun A. 수도 사랑의 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