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흥 천관사 주불전의 복원적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Main halls of Cheon-gwan-sa in Jangheung

성대철, 신웅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a part of the restoration design process with an approach of architectural planning aspects by analyzing the cases with similar sizes and applying their legality into the proposal. The details of the study will identify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ruins and propose restoration plans by determining the restoration point based on this. This is quantifying the relationship of cross-sectional size that corresponds to the plane scale confirmed in similar cases and applying this to the restoration plan. Main hall Sites from the ruins have changed twice and can be temporally classified as the 3rd period. Changes in 1st and 2nd period pertains to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igation and space due to the changes in axis, and the changes in 2nd and 3rd period shows a reduction in size of main halls in the process of reduction of forms.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side length and the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 cases,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n comparing this to the location of Cheongwansa, the ratio of side length and the entire height can be applied as 1~1:1 ratio, and this is a similar ratio with the Daeungjeon Hall of Ssanggyesa in Nonsan, or the Daeungjeon Hall of Gaeamsa.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n the similar location as flatland buddhist temples, the height of longitudinal section was determined.

한국어

본 연구는 복원설계 과정의 일환으로 진행하였으며, 유사 규모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들의 법칙성을 계획안에 적용한 건축계획적 측면의 접근이다. 연구내용은 발굴유구에 의한 시기적 특징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복원시점을 결정하여 이에 대한 복원계획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유사사례에서 확인한 평면규모에 대응하는 단면 규모의 관계성을 수치화하여 이를 복원계획에 적용하는 것이다. 유구에 의한 주불전지는 두차례의 변화를 보여, 시기적으로 3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에서 2기로의 변화는 축선이 변화되어 사찰의 성격이나 공간 성격이 변화하는 것이며, 2기에서 3기의 변화는 사세가 축소되는 과정에서 주불전의 규모가 감소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사사례의 분석을 통해 측면길이와 구조체의 관계를 살펴보면 입지조건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천관사의 입지조건과 비교해 볼 때 측면길이와 전체높이의 비율을 1~1.1 정도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논산쌍계사대웅전이나 부안 개암사 대웅보전과 유사한 비율이다. 즉 평지사찰과 유사한 입지조건에서 종단면의 높이가 결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천관사의 연혁 및 고고학적 성과
  2.1 천관사의 연혁
  2.2 발굴조사의 성과
 3. 유구의 특징 및 변화 과정
  3.1 1기 선대 석축열
  3.2 2기 고려중기 5×3칸 건물지
  3.3 3기 조선전기 정면 3칸 건물지
  3.4 유구에 따른 변화
 4. 주불전의 복원적 고찰
  4.1 정면 3칸 주불전의 계획
  4.2 용척 고찰 및 세부치수 결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성대철 Sung, Dae-Chul. 송원대학교 시간강사, 공학박사
  • 신웅주 Shin, Woong-Ju. 조선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