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李稷의 불교 인식과 그 시적 형상화 - 『亨齋詩集』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Lee Jik's Buddhistic Recognition and Their Poetic Imagery

이직의 불교 인식과 그 시적 형상화 - 『형재시집』을 중심으로 -

김분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regard,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ow Hyeongjae, Lee Jik, recognized Buddhism and embodied it in a poetic way under the social conditions, wher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ere mixed. It mainly focuses on the Buddhist poetry.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Hyeongjae had a deep understanding on Buddhism, although he was a typical Confucian scholar at those days. Examining his poems, he showed a favorable interest and affection towards Buddhism throughout his whole life, and his liking for Buddhism was expressed poetically.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Buddhism played a crucial role in his literature and whole idea, even in the time of his adversity of exile as well as the period of the government official. The Buddhist poets of Hyeongjae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Buddhism-oriented experience and thoughts and the other is the poetic expression of them. Such poetic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three things; the exchange with a high priest of Buddhism, deep inspiration from travelling or living in the temple, and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terms. Here, with the exception of the names of monks and temples, poetic words; 'cremation (華藏),' 'formlessness (無相),' and 'three connected lifetimes (past, present, and future) (三生),’ were often used. In the other case, the poetic imagery about the experiences, which express the harmonization of 'one mind', combining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ought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as distinct. Here authentic precedents, Confucian Scriptures, and a trigram from the book of changes were often used as poetic words.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poetry, written by Hyoengjae is as follows: His Buddhist poetry made his literature world more diverse. Second, his Buddhist poems kept the tradition of the Buddhist poems of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they are valuable as research materials in view of identifying the Buddhist poetry world of the literati, unfolding their poetic world at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literature world of Hyoengjae, which has been left much to be desired, will be identifi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study of Hyeongjae's Buddhist poems.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 초기 유(儒)·불(佛)·도(道) 혼재의 사회적 여건 속에서 형재 이직은 불교를 어떻게 인식하였고, 그것을 시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하였는가를 불교시를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그 결과 형재는 당대의 대표적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불교를 깊이 이해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형재의 시를 살펴보면, 그는 전 생애에 걸쳐 불교에 호의적인 관심과 애정을 보이고 이를 다시 시적으로 표현하였다. 관직기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고 유배라는 역경의 시기에 불교는 그의 문학과 사상 전반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형재의 불교시를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의 경향이 나타난다. 하나는 불교 중심적 경험이나 사유(思惟)를 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경향은 다시 고승(高僧)과의 교유, 사찰 유(遊)·거(居)의 감회, 불교 용어의 이해 등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는 승려명, 사찰명, 외에 불교 용어인 화장(華藏)·무상(無相)·삼생(三生) 등의 시어가 주로 사용된다. 다른 하나는 유교와 불교의 회통(會通)적 경험과 사유를 시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여기서는 전고(典故)나 유교 경전 특히, 주역의 괘가 시어로 사용된다. 형재 불교시의 의의는 첫째, 형재의 불교시는 그의 문학 세계를 더욱 다양하게 만들었다. 둘째, 형재의 불교시는 조선 초기 불교시의 명맥을 유지했으며, 조선 초기 사대부들의 불교시 세계를 파악하는데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 초기 사상 경향과 이직의 불교 인식
 Ⅲ. 불교 인식의 시적 형상화
  1. 불교 중심적 경험과 사유
   1) 高僧과의 교유
   2) 사찰 遊·居의 감회
   3) 불교 용어의 이해
  2. 유불 會通의 경험과 사유
 Ⅳ.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분청 Kim, Bun-Cheong. 경북대 박사과정 수료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