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8세기 야담(野談)의 글쓰기 양상 - 야담의 구성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writing aspect in Yadam in the 18th century

이채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adam was one of typical Chinese classic description writing genre in late Chosun, especially popular in 18th century. That was writing that encompasses Tongyu[通儒], representing possessiveness for knowledge, Giyang[技癢], containing criticism, and Gaheo[架虛], expressing literary ability. However, this can be compared with features of descriptive writing way, critical writing way and metaphorical writing way in writing aspects. That conveys information to readers by author's description of objective information, persuades readers by author's expression of subjective criticism and gets reader's impression and sympathy by author's literary-ability-exhibited expression of opinion and feeling. In other words, its object accords with writing factors. Yadam shows distinctive description form which was created in the private sector, was being popular by narration process and settled after course of record by the literate stratum. In addition, while majority description centrally consists of source story, it can show a new configuration by annexing social atmosphere, behind story or comment before and after source story. However, description centrally consists of source story is applicable to metaphorical writing, social atmosphere or behind stories added before and after source story are applicable to descriptive writing, and comments added after source story are applicable to critical writing. Thus, Yadam in the 18th century was regarded application of three writing methods.

한국어

야담(野談)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한문학 서사 장르로, 특히 18세기에 성행하였다. 그것은 저자의 지식 소유욕을 충족하는 통유(通儒), 내재된 작가 의식을 발현하려는 기양(技癢), 문학적 기량을 표출하는 가허(架虛)를 담보한 저술이다. 이는 문학 전반에 해당되는 일반 저자의 인식이자 보편적 글쓰기 과정으로, 저술 과정에서 설명하기, 비평하기, 비유하기 등 여러 글쓰기 방식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저자는 객관적 지식을 서술함으로써 독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주관적 비판을 부여함으로써 독자를 설득하고, 문학적 기량을 발휘하여 감상을 표출함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야담은 민간에서 창작되어 구연을 통해 유행하였으며, 이후 식자층에 의해 기록으로 정착된 독특한 서사체이다. 또한 대부분 근원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사가 구성되지만, 근원이야기 전후에 사회 분위기나 후일담(後日談) 또는 평어(評語)가 부록되면서 새로운 구성 방식을 보인다. 그런데 야담에서 근원이야기 중심의 서사는 기양과 가허에 기댄 비유하기를 통해 재미와 더불어 현장감과 생동감을 더한다. 또 근원이야기 전후에 실린 사회 분위기나 후일담은 통유를 지향한 설명하기로 인해 신뢰감과 설득력을 높인다. 아울러 근원이야기 뒤에 붙여진 평어는 비평하기에 해당되는데, 이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논리적인 설득에 적극 동조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처럼 18세기 야담은 저자가 세 가지 글쓰기 방식을 활용하여 흥미롭고 새롭게 작품을 구성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조선시대 저자의 인식과 글쓰기 과정
  1. 지식 소유욕 충족 : 통유(通儒)
  2. 작가 의식 발현 : 기양(技癢)
  3. 문학적 기량 표출 : 가허(架虛)
 Ⅲ. 18세기 야담의 구성과 글쓰기 방식
  1. 전평어 및 후일담과 설명하기
  2. 후평어와 비평하기
  3. 근원이야기와 비유하기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채경 Lee Chae-gyeong. 성균관대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