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udy on Correlation Trading of Investors including CEO and Business Cycle
초록
영어
People are apt to investing their own judgments when they feel skillful or knowledgeable. We study on whether this "competence effect" influences trading frequency. We investigate that investors included CEO who feel competent trade more often and have a more internationally diversified portfolio. We investigate that male investors, and investors with higher income or more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mselves as knowledgeable investors than female investors, and investors with lower income or less education. We find that it is unlikely to be explained by other hypotheses, such as overconfidence or informational merit. Traditional portfolio choice theories assume that investors maximize expected utility based on their beliefs of future asset returns. However, thought about the future distribution of asset return is difficult. Every day, an enormous amount of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accepts. The implications of th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future asset returns are highly uncertain and difficult to know. Therefore, an investor's subjec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asset returns is ambiguous. This uncertainty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hought of risk, in which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asset returns is known to the investors. A many literatures in psychology have studied behavior whe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outcome of a lottery is ambiguous. In this paper, We find that trading volume and income distribution by the ruling government in Korean stock market are correlated.
한국어
경영인을 포함한 투자자들은 자신들이 잘 안다고 느끼는 확실한 투자자산에 투자를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해외분산투자(internationally diversified portfolio)와 거래빈도에서도 여실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성향으로는 주로 남성과 소득수준이 높거나 교육수준이 높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경우 정책의 효율성과 주가수익률 및 경기동행지수증가율 사이에는 집권정부별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연구 결과와도 다른 면도 발견되고 있는데, 이는 정부정책 효과가 4~5년에 걸쳐서 시차를 두고 발생할 수도 있고 이명박대통령정부의 경우 미국과 유럽의 금융위기 등이 있는 시기도 겹쳐 있는 등 대외 변수들의 왜곡에 따른 영향을 받았을 수 있어 정책효과가 반감될 수 있는 이유 등으로 뚜렷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경기와 투자자들의 소득변화에 따라 주식 거래량이 관련성이 있는지 등에 초점을 둘 경우 투자자들의 소득변화와 주식 거래량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I. 서론
II. 보수정부와 진보정부별 소득 분석
2.1 데이터
2.2 정부볕 지니계수 동향분석
2.3 정부볕 소득비중 변화
III. 실증분석
3.1 기초통계량 분석
3.2 집권정당에 대한 거시경제변수의 경제효과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