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ㆍ중등 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 경험 및 기대에 관한 요구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f Need Assessment on the Counseling Experience and Expectation to Promote Mental Health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서은주, 김장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that are necessary to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 direction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mental health. For this, survey data which got from 207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in 5 cities in Gyeongnam and Jeonnam province analyz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school teachers could not solve problem and experience empathic understanding in counseling with their peers. Also, the analysis showed that they want to receive professional counseling from professional counselors. Especially, teachers who have under 5year teaching experience revealed very high rate(86.2%) of counseling needs relatively. With this, teachers regarded acceptive atmosphere as an important considering factor when having counseling and individual counseling was preferred counseling type among several counseling intervention types.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emerged as a main appealing problem and counseling for this area demanded preferenti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ies of systematic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which provides by schools and education departments should be prepared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정신건강과 관련한 문제들을 호소하는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상담 개입 방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5개 영역 24개 항목으로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초·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기존에 경험한 동료와의 상담에서 문제 해결과 공감 및 이해에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심리상담 전문가로부터 전문 적인 상담을 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심리상담이 제공될 때 고려해야 할 요인 으로 수용적인 분위기를 중요시하였다. 넷째, 개인상담의 형태로 주된 호소 문제인 심리적인 문제와 대인관계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심리상담을 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중등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 지역교육청 단위의 체계적인 심리상담 개입의 필요성이 있음이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교직 중 상담 경험
  2. 상담에 대한 기대
  3. 심리상담 시 고려 요인
  4. 호소 문제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은주 Seo, Eun-Joo. 경상대학교 교육학과
  • 김장회 Kim, Jang-Hoi. 경상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