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educational course which is a part of the curriculum of the institution for teachers, particularly for teachers who will teach subject matters in secondary schools. The curriculum of colle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onsists of General Education Course, Educational Course, Major Course and Optional Course. Major Course includes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subjects matter education, subjects matter content and educational practice. The curriculum for teacher education should put emphasis on and strengthen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subjects such as understanding school education, psychology and learning of students, class management, and guidance will be relevant for educational course.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중 · 고등 학교의 교과수업을 담당하게 될 초임 교과교사의 직전교육을 위해, 교사양성기관 특히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중 일반교육학과정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교양과정, 전공과정, 그리고 선택과정으로 구성될 수 있는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은 전공과정으로 일반교육학과정, 교과교육학과정, 교과내용학과정, 교육실습과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교사교육과정에 있어서 교과교육학과정이 특히 강조되고,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일반교육학과정으로 학교교육의 이해, 학생의 심리와 학습, 학급관리 및 생활지도등의 과목이 적절할 것이다.
목차
II. 일반교육학과정의 문제
III. 일반교육학과정의 변천
IV. 일반교육학과정의 탐색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