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필담창화집 『홍려필담(鴻臚筆談)』에 대하여 - 위작과 그 의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Pildamchanghwajip Hongnyeopildam - Focus on forgery and its Significance -

조영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manuscript introduces and analyzes the Hongnyeopildam(鴻臚筆談) which is currently stored in Kanbaraboonko(神原文庫) at Kagawa University(香川大学). The Hongnyeopildam is a series of correspondences and written conversations that were exchanged between the 1711 Tongshinsa(辛卯․正徳) delegation which included Jeongsa Cho Tae-eok(趙泰億), Busa Im Su-Gan(任守幹), Jongsagwan Lee Bang-Un (李邦彦), and Jesulgwan Yi Hyun(李礥), and the Japanese executive official of the time, Arai Hakuseki(新井白石). The Hongnyeopildam was edited by Arai Hakuseki’s brother-in-law Kusakabe Kagehira(日下部景衡) and is mentioned in the JiUh(識語) to have been kept by the Arai family as a secret manuscript. The Hongnyeopildam contains 14 letters of correspondences and written conversations. One point of interest is a written conversation that focuses on cultural aspects that include memorial stones(古碑), engravings(篆刻), and writing papers. This written conversation mainly deals with the Dahobi(多胡碑), a engraving that made its way to China from Japan while going through Korea. Contemporary information on the Dahobi state that this engraving arrived from Japan with the return of the 1763~1764 Tongshinsa delegation that had met with the Japanese scholar Sawada Doko(沢田東江) during their journey. Upon analyzing the Pildamchanghwaejib Gyunggaejib, which contained informa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Sawada Doko and Tongshinsa delegation, and contrasting it with the Hongnyeopildam, we have identified the Hongnyeopildam to be a forgery manuscript that plagiarizes the Gyunggaejib. Additional analyses on the ownership stamp of the Hongnyeopildam, show that this manuscript has been written at least 150 years later than 1711. The written conversations in the Hongnyeopildam are identified to be plagiarism, but the situation with the correspondences is uncertain. If these correspondences are true, they hold clues that show more than just th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1711, but also highlight how Cho Tae-eok and Yi Bang-Un viewed Japan and how Arai Hakuseki viewed Joseon. Although the motive behind the forgery cannot be identified, the fact remains that 150 years after Arai Hakuseki met with the Joseon delegation, the name Arai Hakusuki and his meeting with the Joseon delegation was brought into light was again. This mentioning of the past led to the forgery of the Pildamchanghwaejib.

한국어

본고는 일본 가가와대학(香川大学) 간바라문고(神原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홍려필담(鴻臚筆談)』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했다. 『홍려필담』은 1711년도 통신사(辛卯․正徳)의 정사 조태억(趙泰億), 부사 임수간(任守幹),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제술관 이현(李礥) 등과 당시 에도 막부의 집정관이었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가 주고받은 서간문 및 필담이 기록되어 있는 텍스트이다. 아라이 하쿠세키의 처남인 구사카베 가게히라(日下部景衡)가 편집한 텍스트이자, 아라이 가문의 가장본(家藏本)으로서 ‘비서(秘書)’로 소장되어 왔다고 지어(識語)에 기록되어 있다. 『홍려필담』에는 14편의 서간문 및 필담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고비(古碑)․전각(篆刻)․종이 등 양국 문화에 대한 많은 화제가 제시되는 필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에서 한국을 거쳐 중국으로’ 전해졌다는 일본 ‘다호비(多胡碑)’의 탁본 문제가 기록되어 있어 관심을 끈다. 현재 학계에서 다호비에 대한 정보는 1763-4년 조선통신사가 일본학자 사와다 도코(沢田東江)를 통해 조선에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와다 도코 및 주변의 인물들과 1764년도 사행단원의 교류를 담은 『경개집』이라는 필담창화집을 확인한 결과, 『홍려필담』은 『경개집』을 거의 그대로 베낀 위작 텍스트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장서인 등을 통해 고증해보면 『홍려필담』은 1711년보다 적어도 150년 이상 후대에 작성된 텍스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위작이 확실시 되는 부분은 『홍려필담』의 필담 부분으로, 앞쪽에 실린 서간은 위작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다. 만약 서간 부분이 실제 아라이 하쿠세키와 통신사가 남긴 기록이라면, 1711년도의 조일 교류뿐만 아니라 조태억과 이방언의 대일인식 및 아라이 하쿠세키의 조선인식을 보여주는 단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작을 작성한 의도에 대해서는 확정할 수 없으나, 확실한 것은 아라이 하쿠세키와 조선통신사의 만남이 있었던 1711년에서부터 적어도 150년 이후 아라이 하쿠세키가 다시 호명되었고, 더불어 조선통신사도 재언급되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일본 내에서 통신사를 둘러싼 필담창화집이 위작을 발생시킬 정도의 위치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본어

この発表では、香川大学神原文庫所蔵の『鴻臚筆談󰡕について、その紹介及び分析を試みる。 『鴻臚筆談』は江戸中期の政治家․新井白石と、1711年(辛卯․正徳)の朝鮮通信使の正使․趙泰億らなどが取り交わした、現在までに知られていない書簡と筆談が載せられたテキストである。 識語には、新井白石の義弟である日下部景衡の編集にかかり、新井家家蔵の「秘書」とされてきた、とある。 本書には14編の「書簡文」に加え、両国の文化に関する様々な話題が提示された「筆語」が収録されている。 その中でも、特に「日本から韓国を経て中国に」伝わった東アジア文化交流の端的な一例である「多胡碑」の拓本に関する話題が記されている点は、注目に値する。 現在韓国の学界では、「多胡碑」は1763-4年の通信使が沢田東江を通じて朝鮮に伝えたものとされており、『鴻臚筆談』の内容が正しければ、この認識を大きく改めることになる。 しかし、沢田東江らと1764年度の通信使間の交流を示した『傾蓋集』を確認した結果、『鴻臚筆談』はこの書をもとにして、1711年より約150年以上のちに偽作された筆談唱和集にみられる。 本書が偽作された理由について今は明確にできないが、一つ確実なのは新井白石と朝鮮通信使との出会いから約150年以上の後に、新井白石の名が再び呼び覚まされ、朝鮮通信使との交流が再言及された点である。 たとえ本書が偽作であったとしても、それは通信使に関する筆談唱和集が、偽作が出るほどの位置に置かれ、必要とされた証と言えるだろう。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홍려필담』의 서지와 구성
 3. 『홍려필담』의 위작 양상
 4. 텍스트 형성 시기 재구성
 5. 위작 텍스트의 활용가능성과 의의
 참고문헌
 日文抄錄
 Abstract

저자정보

  • 조영심 Cho, young-sim.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