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수자원 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검토

원문정보

A Review on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김연수, 강나래, 정재원, 김형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cent, the direction of water resources policy is changing from the typical plan for water use and flood control to the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change mak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water resources such as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supply is becoming an important concern for decision making of water resources policy. We had analyzed the structured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water resources. However, the recent trend is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which can create new values by linking unstructured data with structured data. Therefore, the trend for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is also changing. According to the paradigm change of information managemen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n application of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in water resources field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use of wate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e and direction of policy related to water resources information in Korea and an other country. Then we connected volume, velocity and variety which are the three basic components of big data with veracity and value which are additionally mentioned recently. And we discussed the rapid and flexible countermeasures about changes of consumer and increasing big data related to water resources via cloud computing. In the future,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should go to the direction which can enhance the value(Value)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by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based on the amount of data(Volume), the speed of data processing(Velocity), the number of types of data(Variety). Also it should enhance the value(Value)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by the fusion of water and other areas and by the production of accurate information(Veracity) required for water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disaster and for protection of life and property.

한국어

최근 국내・외 수자원 정책의 방향은 전통적인 이・치수 부문과 함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대한필요가 강조되면서 수자원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공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 수자원 정보는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이미 정하고 거기에 맞도록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형 데이터뿐만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는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수자원 정보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자원 정보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자원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을 위해 수자원 분야에서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적용 방안을 검토 및 제언하고자하였다. 국내외 수자원 정보 관리의 현황과 방향을 살펴보고, 빅 데이터의 3대 요소인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과 함께 추가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정확성(Veracity), 가치(Value)개념을 연계하였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을통해 증가하는 수자원 관련 빅 데이터와 수요자의 변화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한 대처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앞으로의수자원 정보 관리는 정보의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 등의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적용을 통한인명과 재산의 보호 등 공공의 목적, 물 관리 및 재난의 예방과 대응에 필요한 정확한(Veracity) 정보의 생산, 그리고 다른분야와의 융합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수자원 정보의 가치(Value)를 높이는 방행으로 나아가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국내・외 수자원 정보 관리의 현황
  2.1 국외 수자원 정보 관리
  2.2 국내 수자원 정보 관리
 3.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3.1 빅 데이터 (Big Data)
  3.2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4. 빅 데이터 기반의 수자원 정보 구축 및 활용
  4.1 수자원 정보의 수집 및 저장 (Volume)
  4.2 데이터 실시간 처리와 제공, 분석 속도 (Velocity)
  4.3 다양한 자료의 처리 및 융합 (Variety)
  4.4 수집 및 재생산 되는 자료의 정확성과 가치 (Veracity, Value)
 5. 미래 수자원 관리 전략
  5.1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한 IT 기반의 물관리 거버넌스 실현
  5.2 재난 예방 및 대응 능력 강화
  5.3 물 환경과 생태계 관리 방안 마련
  5.4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역량 강화
 6.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연수 Yonsoo Kim. 인하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강나래 Narae Kang. 인하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정재원 Jaewon Jung. 서울연구원 안전 ・환경연구실
  • 김형수 Hung Soo Kim. 인하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