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benthic ecology around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effect of the estuarine barrage on the ecosystem was also evaluated. The water quality was interpreted using the field survey (2013 and 2014) and monitoring data (MOE, 1989~2013) and the macrobenthic-fauna was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the field survey data (2014) and literatures review (1985~2013). The long-term variation of water quality of Nakdong River generally showed increased nutrient concentration with decreased discharge, while abrupt influence of the barrage construction was not observed. However, the nutrient and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inside the barrage distinctly wa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utside the barrage because the mixing of fresh and seawater was limited by the barrage. Especially, in the period of low discharge during winter, the Chlorophyll-a concentration clearly increased more in the downstream inside the barrage, showing the barrage effect. In other words, stagnant effect caused by barrage construction had an effect on the water quality degradation in dry seasons. As for the benthic ecology inside barrage after barrage construction, molluscans and brackish-water crustaceans disappeared. Outside the barrage, benthic ecosystem has deteriorated and the small-sized organic indicative species like Prionospio membranacea, Pseudopolydora kempi, Sinocorophium sinensis became dominant due to several construction such as Myeong-Gi Bridge, Airport construction, industrial complex after the Nakdong barrage construc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 인근의 장기 수질 및 저서 생태변화를 파악하였고, 동시에 하굿둑이 수질 및 저서생태계에 미친영향을 알아보았다. 수질 자료는 2013년과 2014년에 현장 조사를 통해 획득한 실측자료와 수질 측정망 자료(환경부, 1989~2013)를취합하여 해석하였다. 대형저서동물 자료는 2014년 현장 조사 자료와 문헌자료(1985~2013년) 분석을 통해 장기 변화를 파악하였다. 낙동강 하구 장기 수질변화는 전반적으로 유량 감소시 영양염이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하굿둑 건설로 인한 급격한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낙동강 하굿둑 내측의 수질은 하굿둑에 의해 해수와 담수간의 혼합이 제한되어 내측의 영양염및 유기물의 농도가 외측보다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겨울철 유량감소로 인해 체류시간이 증가한 시기에는 하굿둑의효과가 나타나 하류로 갈수록 클로로필 증가가 뚜렷하였다. 즉, 하굿둑으로 인한 정체효과는 갈수기에 수질악화로 나타났다. 저서생태계는 하굿둑 완공 이후 내측은 기수역 소실로 인해 재첩 등의 연체동물과 기수 갑각류들이 사라졌으며 종 다양성이매우 낮은 환경이 조성되었다. 하굿둑 외측은 유기물 유입에 영향을 받는 소형 오염지시종(Prionospio membranacea, Pseudopolydora kempi, Sinocorophium sinensis)이 높은 밀도로 출현하여 저서환경의 악화를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하굿둑건설과 건설 이후 명지대교, 신공항 건설 및 공단조성 등과 같은 다양한 공사로 인해 서식환경이 악화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지역
2.2 수질자료 조사 및 분석
2.3 저서 생태계 조사 및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수질 변화의 경향성
3.2 저서생태계 변화의 경향성
4.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