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소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관계

원문정보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Self Efficacy, and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최현경, 양승경, 하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and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Factors that influence burnout of workers were also assessed. Methods: One hundred sixty six workers in public health centers completed a pack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long with Scheffé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seemed to experience emotional labor to some ext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depending on the age of workers. Employees’ burnou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labor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were emotional dissonance, surveillance & monitoring of organization, age, and self-efficacy. Conclusion: Consider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which increase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decrease certain types of emotional labor for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to help them effectively manage burnout.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의 감정노동과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G도 10개 보건소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직 종사자 166명을 대상으로 자가응답식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혹은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의 하위영역 중 ‘감정부조화 및 손상’, ‘조직감시 및 모니터링’이였으며, 연령,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에 대한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39%였다. 결론 :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소진은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소진은 감정부조화와 가장 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근로자의 감정부조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이나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Purpose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소진의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
  4.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현경 Choi, Hyunkyung. 경북대학교 간호대학ㆍ간호과학연구소
  • 하영미 Ha, Yeongmi.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ㆍ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 양승경 Yang, Seungkyoung.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