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벽수산장으로 본 근대정원의 조영기법 해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Modern Garden Landscaping with a Focus on Byeoksusanjang

김해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nalyzed modern garden landscaping techniques by targeting the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and garden of Byeoksusanjang(碧樹山莊), which was built in the area of 47 Ogin-d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irst, although modern buildings and Hanok coexist within the Byeoksusanjang area, the garden was built in a way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uilding. A typical garden, which considered the vehicle movement line, was adopted for Byeoksusanjang, and a rear garden and a pond were built for the Bonchae, which is in the style of a Hanok. Second, the modern building material of red brick,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with polished granite stone, maintained the unity of the design by being applied to the masonry wall connected to the front gate, the exterior of the Byeoksusanjang, and the length of the Ilyangjeong(一陽亭). Third, the planting method involved the row-planting of Ginkgo biloba and Prunus yedoensis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Zoysia spp and trimmed Juniperus globosa for the front garden of Byeoksusanjang; and a natural tree belt for the boundary. Flower pots were used to achieve particular sceneries. Fourth, the landscape elements enjoyed at the Byeok-susanjang can be found in the records of the 『Byeoksusanjangilram(碧樹山莊一覽)』. There are many garden elements within the wall, as well as a variety of natural elements. Furthermore, it includes synesthetic experience and temporary scenery. The present researcher hopes that actual follow-up analysis is carried out regarding the modern garden elements by conducting excavation surveys in the Byeoksusanjang area.

한국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옥인동 47번지 일대에 조영된 벽수산장(碧樹山莊)의 공간구성요소와 정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근대정원의 조영기법을 분석했다. 첫째, 벽수산장 권역 내 양식 건물과 한옥이 공존하지만 정원은 각 건물특성에 부합하는 형태가 조영되었다. 벽수산장에는 차량동선을 고려한 정형적 정원이 도입되었고, 한옥인 본채에는 후원과 연못을 축조했다. 둘째, 근대 건축 재료인 붉은 벽돌은 다듬은 화강석과 결합한 형태로 정문과 연계된 조적담, 벽수산장 외장, 일양정(一陽亭) 기단에 도입되어 디자인 통일성을 유지했다. 셋째, 식재 기법은 차량진입도로 양측에 은행나무와 벚나무의 열식, 벽수산장 전정은 잔디와 전정된 옥향, 경계부는 기존 수림대를 활용했다. 특정 경관 연출을 위해 화분을 활용했다.넷째, 벽수산장에서 향유할 수 있는 경관요소는 『벽수산장일람(碧樹山莊一覽)』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담장 안의 정원요소가 많으며, 자연적인 요소가 다수를 차지한다. 더불어 공감각적 체험과 일시적 경관도 포함되어 있다. 향후 벽수산장 권역의 발굴조사가 진행되어 근대정원 요소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분석이 후속되길 바라는 바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내용
 Ⅱ. 벽수산장의 공간 형성 과정
  1. 벽수산장 권역의 선점과 부지 확장
  2. 건축 요소의 구축
 Ⅲ. 벽수산장 권역의 공간구성요소
  1. 휴게시설
  2. 수경시설
  3. 수목
  4. 바위글씨
 Ⅳ. 벽수산장 권역 정원의 근대적 특징
  1. 공간구성요소의 양식 혼재
  2. 근대재료를 활용한 구조물
  3. 수목의 변형과 기능 식재
  4. 주변 경관과 공간요소의 적극적 향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해경 Kim, Hai-gyoung. 건국대학교 녹지환경계획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