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에서 풍경, 그 기억의 전이에 관한 연구- 안토니오니의 <붉은 사막(Il Deserto Rosso)>과 아피찻퐁의 <열대병(Tropical Malady)>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Landscape in the Films -A Study on the Landscape of <Il Deserto Rosso> and <Tropical Malady>

서정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the memories that underlie the 'migration' of similar landscape images in a movie. A landscape image is separated from the narrative and plays the role of a non-representative image. Two of the most outstanding examples of a landscape as a non-representative image are well represented in Antonioni's Il Deserto Rosso and Apichatpong Weerasethakul's Tropical Malady. Their landscape images seek to acquire ontological meaning and to ask questions about one’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n the form of image-thoughts. As image-thinking, the landscape in Il Deserto Rosso shows the anxiety of human space-relationships, expressing the world as 'appearance', while the landscape in Tropical Malady remind of viewer of the origin of human expression to see the world as 'as it is'. What memory does is to operate the 'migration' of images. Warburg defines memory using the Mnemosyne (unconscious memory). Similar images of the body in Greek and Renaissance paintings are fragments and non-chronological, surviving the interval of time. Like the Mnemosyne, landscape images from Il Deserto Rosso to Tropical Malady, with the 'migration', contain the memory of 'Being'. Like the Mnemosyne, the quest of 'Being' is an intrinsic 'force' with a landscape image itself. As the 'force' of the image in the history of art allows one to search for traces of human beings, the force of the landscape image in the film history reveals that the essence of the image appears as a thought process.

한국어

본 논문은 영화 속 유사한 풍경이미지들의 ‘이주’에는 어떤 사유가 내재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영화 속 풍경은 프레임 내에서 인물과 서사의 맥락에 따라 구성되어, 그 의미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영화사에서 풍경은 배경, 표현성, 감정의 생성으로 변화하면서 서사와 분리되어 비 재현적이 된다. 이러한 풍경이 잘 나타나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붉은 사막>과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열대병>을 분석하면서, 전자는 인간존재의 ‘불안’이란 상태를, 후자는 존재의 시원에 대한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사유 공간’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비 재현적인 풍경이미지는 인간과 세계와의 관계에 대해 물음을 던지는 존재론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붉은 사막>과 <열대병>의 풍경이미지들은 안토니오니의 풍경이 세계의 ‘나타남’으로, 아피찻퐁의 풍경은 ‘그저 있음’의 세계로 ‘이주’하면서 변형되어 나타난다. 그런데 이 풍경의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파편화되고 불연속적인 이미지들의 ‘이주’에 유사성이 있으며,그 근저에 어떤 기억이 자리하고 있는데, 그것은 ‘있음’에 대한 기억이다. 아비 바부르크(Aby Warburg)는 이를 ‘므네모진느(Mnemosyne)’ 즉, 인간문화에 대한 ‘무의식적인 기억’이라 불렀다. 바부르크에 따르면, 그리스시대와 르네상스시대 회화의 신체에 관한 유사한 이미지들은 파편적이고 비 연대기적이지만, 시간의 흐름에서 ‘살아남아(Nachleben)' ‘파토스의 형식(Pathosformel)’이 되어 인간문화의 기억의 흔적을 드러낸다. 바부르크의 ‘므네모진느’의 내재적인 ‘힘’이 기억을 불러들이는 역량인 것처럼, 풍경 역시 이미지 자체가 갖는 내재적인 ‘힘’ 으로 인해, ‘있음’에 대한 기억이 ‘살아남게’ 된다. 바부르크가 ‘므네모진느’를 통해 예술사에서 예술이미지가 인간에게 남긴 흔적에 대해 사유했다면, 영화사에서 풍경이미지는 영화가 끊임없이 세계에 대해 사유하는 사유-이미지를 밝히고자 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연구방법
 2. 본론
  2.1. 풍경의 다양한 작용 : 배경, 균열, 표현, 감정
  2.2. 기억(‘있음’)으로서의 풍경 : 안토니오니의 풍경과 아피찻퐁의 풍경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정아 Seo, Jung Ah.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