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호텔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Perceived Work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on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of the Hotel Tourism Management Department

박슬기, 이희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urse sele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 futures and the directions they will take. Having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ir major means that they have made well-thought out choices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their aptitudes.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for the Department of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to meet student work valu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work values set by the Department of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meets those of the students' in regards to thei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recognition of satisfaction effects commitment. Previous domestic tourism-related department research has looked at curriculum, major satisfaction, courses, course maturity, and career barriers, however, this study look further into the areas of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commitment to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would like to set the detailed research purposes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work values through existing previous studies, major satisfaction, and to perform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major commitment. Secondly,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vocational values of students in this field have examined the impact of satisfaction. Thirdly,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factors affect students’ commitment levels to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fields.

한국어

대학교에서의 전공은 진로선택 및 방향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전공에 대한 만족이 높다는 것은 자신의 관심과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하였음을 의미하며, 전공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전공에 대한 몰입 및 전공분야로의 진로결정까지도 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이루어진 이 분야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교육과정, 전공만족, 진로,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등에 관한 것이었다. 반면, 호텔ᆞ관광 관련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는 호텔ᆞ관광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인식하는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다음과 같이 세부 연구 목적들을 설정하고 이들을검증하였다. 첫째,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직업가치관, 전공만족, 전공몰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호텔 관광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셋째, 호텔 관광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이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가치관
  2. 전공만족
  3. 전공몰입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설문구성
 Ⅳ. 분석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변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
  3. 가설검정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슬기 Park, Seul-Ki.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호텔경영학과 석사졸업
  • 이희승 Lee, Hee-Seung. 호남대학교 호텔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