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콘텐츠학에서의 디지털 이미지론 : 글로컬 개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Discourse of Digital Image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 Focusing on the Notion of Glocal

김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21st century is a period of digital culture. Digital technology is used in today’s society. The notion of digital was developed from a conception of binary scale, but made in 19-20th century. The notion of digital is combined with today’s various technology, and fabricates the digital society. Especially, digital (visual) image is a main device which draws the current situation. Digital virtual image in computers interacts with real worlds. The very first digital image which is drawn by point, line, place is now gone. Recently, complex colour technology and detailed drawing image can be easily found in all around of digital image culture. Real digital images which seems much better than real images can be easily found as well. Internet, video game, DVD, smart phone, HMD VR, AR, etc. are told as a favourite child of nowaday’s visual cultural contents which uses digital images. The visual contents which are based on the local culture, including digital films, animations, displays are everywhere. Digital images encourage us to composite styles and copy many images. Obviously, these images could be harmonized with local cultures. It could be told the notion of cultual spread, transition, and transformation. In this article, at this point, we examine the idea of glocal digital image which both hold global and local backgrounds.

한국어

21세기는 디지털 문화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 모든 면에서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개념은 2진법에서 비롯되어 19∼20세기에 인간이 만들어낸 문화산물이다. 이것이 현대 기술과 결합되면서 디지털 사회라는 상황을 만들어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디지털 (비주얼) 이미지는 이러한 양상을 끌고가는 기본 장치라고 볼 수 있다. 컴퓨터 모니터 속에는 가상의 디지털 이미지가 들어있으며, 이것이 다시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고 있다. 점․선․면으로 구성되었던초창기 디지털 이미지는 시대가 지나면서 복잡한 컬러기술과 정교한 이미지 기술로 발전하여, 최근에는 실제 보다 더욱 실제 같은 이미지들이 넘쳐나고 있다. 인터넷, 비디오 게임, DVD, 스마트폰, HMD 가상현실 혹은 증강현실 시스템 등은 모두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하는 현대 (비주얼)문화콘텐츠의 총아다. 또한 각 지역 문화와 연결되는 비주얼콘텐츠 ―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한 영화, 애니메이션, 전시디스플레이 등 ― 들의 제작과 소비도 자연스럽게 일상화되어 있다. 디지털 이미지에는 중첩적인 수정과 합성 작업 등을 통해 동일한 이미지가 수많은 지역 이미지및 다양한 배경과 어울리는 상황이 조성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문화의 전파, 전이, 변형과 연결된다는 면이 있다. 이 견지에서 세계와 지역의 상호 소통을장려하는 글로컬 디지털 이미지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중첩적인 수정과 변형과 복제
 3. 글로컬 디지털 미학
 참고문헌
 국문요약

저자정보

  • 김성수 Kim, Soungsu. 한국외대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