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nthropology is a study to analyse and research all about humanity in terms of both synchrony and diachrony. It includes such diverse disciplines as archaeology, ethnology, folklore, social anthrop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cognitive anthropology, according to study objects, categories and approaches. The anthropology has been developing various study methodology especially since 19th century when it had processed to be systemized as a full-fledged science. Along with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photography and motion pictures, mainly the innovations in filming technology (such as real-time recording, video, digital, etc.), the anthropology faced a drastic changes in the form of the result of research as well as the approaching methods themselves. Meanwhile, the academic journal is the most general means to announce and share the result of a scientific research in terms of new theorization, revelation and invention. The chronological prototype of the journal might check back to the 17th century (Marin Mersenne), and the primary functions of an academic journal are to record scientific revelation and to protect researchers’ intellectual properties as well as to spread and conserve the results of researches. Owing to continuous development in printing technology and publication industry which have kept pace with the sciences since the first issue in 1665, the academic journal has held the most significant means in academic communications. However, a new phenomenon and paradigm have introduced in the field of academic communications in consequence of rapidly evolving digital and ICT technology since 1980s.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visualization of research or academic data’ and the ‘evolution in academic communications’, mainly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ic and cinematic media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progressed since the 19th century) and how the academic communication, which has largely depended on text-based media for a long while, is evolving into, by means of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 newly emerging trans-media contents and platform in the 2000s.
한국어
‘인류학’은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통시적․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연구하는학문으로, 연구의 대상, 범위, 방법에 따라 고고학, 민족학, 민속학, 사회인류학, 문화인류학, 인지인류학 등 다양한 하위 분과를 포괄한다. 인류학은 19세기 이후 학문적 체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발전시켜왔다. 사진과 영화의 등장과 발전, 특히 동시녹음, 비디오, 디지털 장비 등 영화 촬영기술의 발전은 인류학의 연구방법론은 물론 연구결과물의 형식에 있어서 커다란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학술(學術)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의 제시, 새로운 현상의 발견, 발명등 연구의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학술지(學術誌)를 통한것이다. 학술지의 원형적 시도는 17세기(마랭 메르센)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일차적 기능은 학문적 발견에 대한 기록과 연구자의 지적 재산권 보호이며, 연구성과의 확산과 연구결과물의 보존도 학술지의 중요한 역할이다. 1665년 최초의 학술지 발간 이후 인쇄술과 출판 산업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학술지는 지금까지도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급속도로 발전해온 디지털, IT,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보급은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에 새로운 현상과 패러다임을 등장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 및 연구 자료의 형상화’를 영화와 인류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오랫동안 문자 매체에 의존해 왔던 학술 커뮤니케이션이 2000년대이후 새로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이자 플랫폼으로 등장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에 의해 어떤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2. 인류학 방법론과 사진ㆍ영화
3. 인류학 영상자료의 학문적 가치
4.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도전
5.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키워드
- 인류학
- 영상인류학
- 사진
- 영화
- 민족지 영화
- 인류학 다큐멘터리
- 학술
- 학문
- 연구
- 학술지
- 학술 커뮤니케이션
-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 웹-다큐멘터리
- 트랜스미디어
- 미디어 컨버전스
- 집단지성
- 상호작용
- 웹 2.0
- 연구자 2.0
- 데이터베이스 내러티브
- 디지털 인문학
- i-docs
- Anthropology
- Visual Anthropology
- Photography
- Cinema
- Ethnographic Film
- Anthropological Documentary
- Academic Research
- Academic Journal
- Academic Communication
- Interactive Documentary
- Web-documentary
- i-docs
- Transmedia
- Media Convergence
- Collective Intelligence
- Interactivity
- Web 2.0
- Researchers 2.0
- Database Narratives
- Digital Huma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