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 직후 뉴스문화영화의 상영 연구

원문정보

The Screening Methods and Aspects of Newsreel & Culture Film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fter the Liberation

이길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screening methods and background in commercial theaters in Seoul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Since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to supply motion-picture films in most movie theaters in Seoul just after liberation, films which were screened or banned on imports of foreign film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circulated. In this period the theaters were not only for motion-picture films but also for various performances such as plays and variety shows. Considerable number of documentary films, newsreels and culture films were included in the commercially circulated films. The popularity of non-feature films can be explained in several ways. The first would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directly after liberation. In this period, Chosun society was generally full of enthusiasm to educate people and enlightening atmosphere in the face of tasks which were clearing away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building up a new nation. Secondly, there was a serious shortage of feature films in commercial theaters. On account of the transition period when the social and cultural system was not yet firmly established, a supply and demand of motion-picture films was not easy, so people had to enjoy watching non-feature films although feature film was very popular mass entertainment.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 popular films in this period were war-related films, especially World War II films relating to the fall of the Japanese. Thirdly the popularity of the war genre and culture films depicting American society shows that the audiences estimated the future of national reconstruction through the modernized western society as well as spectacular entertainment elements in these films. On this wise, non-feature films were frequently screened in commercial theaters in Seoul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se films could be survived in theaters for a long time because they had an abundance of all the entertainment elements and had a useful role in terms of Americanized education and enlightenment for national reconstruction.

한국어

이 글은 해방 직후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 특히 미군정기와 그 직후 대한민국 정부수립 시기를 중심으로 서울의 상업극장에 상영되었던 뉴스영화 및 문화영화 작품과 그 변화 지점 그리고 그러한 변화의 배경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해방 직후 서울의 대부분의 극장에서는 영화수급이 원활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제시기 상영되었던 영화나 일제시기 수입했지만 외국영화 수입 금지조치로 인해서 상영되 지 못했던 작품들이 주로 영사되었다. 당시 조선의 극장은 영화전용관이 아니라 연 극과 악극 및 쇼 등 다양한 공연물이 경쟁하는 장소였고 이 시기 극장에서 상업적 으로 상영된 작품에는 상당수의 기록영화와 뉴스영화, 문화영화가 포함되어있었다. 이러한 점은 1950년대 후반부터 상업극영화가 거의 독점적으로 상영되었던 관행을 참조해보았을 때 매우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해당 시기 비(非)극영화의 인기는 몇 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우선 해방 이후라 는 시기적 특성상 식민지 청산과 새로운 국가건설이라는 과제 앞에서 남한 사회는 전반적으로 계몽적인 분위기가 팽배했고 대중을 교육시키고자 하는 열의가 가득했 다. 두 번째로 상업극장에서 상영되는 극영화가 매우 부족했던 상황의 산물이었다 고 볼 수 있다. 영화는 매우 인기 있는 대중 오락물이었지만 해방 이후 사회문화 제도가 정착되지 못했던 과도기에 영화의 수급은 어려웠고 대중들은 극영화뿐 아 니라 비극영화 역시 오락의 하나로 즐겨보았던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당시 상영되 었던 많은 비극영화들이 주로 미국이 제작한 전쟁 관련한 대규모 작품, 특히 일본 패망과 관련된 이차대전 전쟁물들이었던 점에서도 추측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그러 한 전쟁물과 미국사회를 그린 문화영화가 인기 있었다는 점은 이 작품들에서 관객 들은 스펙터클한 오락적 요소뿐 아니라 근대화된 서구사회에 대한 교육을 받고 그 문화를 통해 국가재건의 미래상을 가늠해보았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비극영화는 서울의 상업극장에서 미군정 시기에 빈번하게 상영되었으며, 그 작품들은 오락적 요소가 풍부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극장에 남아있을 수 있었고 국가재건을 위한 계 몽과 미국화의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유용한 작용을 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해방 이후부터 1949년까지 비극영화의 상영
 3. 미군정기 영화문화에서 비극영화의 위상
 4.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길성 Lee, Gil-Sung. 중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