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 교과서의 부록 활용 실태 조사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 of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정석우, 이춘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ak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us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y type and to survey students’ preference for, understanding of,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and interest in the appendices by typ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from six textbook publishers used under the current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surveyed 480 children from 16 classes of 5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bout their perception of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From thes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appendices of the current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varied in volume among the publishers. The number of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showed a large variation from 7 to 25. Second, the appendices of the current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concentrated on specific units or did not include some necessary units depending on the publisher. Third,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or gender. Fourth, the children’s interest in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by typ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hus, when providing the appendic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we need to consider appendices of drawing type for female students, and those of worksheet type for male one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사용되고 있는 실과 교과서 부록의 유형에 따른 양적 분석과 학생들의 선호도 및 이해도, 유용성과 유형별 흥미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행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6종 교과서의 출판사의 실과 교과서 부록을 분석하였고, 경기도 소재초등학교 학생들의 부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부록은 출판사에 따라 제공되는 분량의 격차가 커서 부록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출판사에 따라 학생들 간에 부록을 활용할 교육 기회 측면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현행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부록은 출판사에 따라 일부 단원에 편중되어 있거나 누락되어 있어서 교육내용에 따른 부록유형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부록이 필요한 교육내용을 무엇이고, 어떠한 유형으로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규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실과 교과서 부록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은 학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다. 부록이 실과 수업에서 유용한 정도는 학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차이가 없기 때문에 부록의 학습 안내, 활용, 과제 해결에서 학년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둘 필요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실과 교과서 부록의 유형별 흥미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실과 교과서의 부록을 제공할 때에는 제도형 부록에는 여학생들에게, 활동지형 부록에는 남학생들에 대한 배려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실과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구성
  2. 실과 교과서 부록 유형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 연구의 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의 처리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 실과 교과서 부록의 양적 분석
  2. 실과 교과서 부록에 대한 인식 분석
  3. 실과 교과서 부록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분석
  4. 실과 교과서 부록의 유형에 따른 흥미도 분석
  5. 시사점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석우 Jeong, Seok-Woo. 와동초등학교
  • 이춘식 Lee, Choon-Si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