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장애자녀 돌봄제공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융복합 돌봄역량 요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of convergent caring competency for promotion of caregivers' wellness of disabled children

이유리, 김남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disabilities type of caring competency, caring appraisal(caring burden, caring satisfaction), self-help group support for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301 parents who have disabled children(180 mental disabilities & 121 physical disabilities). Given the three types of invariance satisfied, latent means analysis(LMA) i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the four factors across the two groups. According to LMA where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showed higher latent mean values on the self-help group support and caring burden. However,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wed higher latent mean values on the caring satisfaction and caring competency.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자녀 부모가 인식한 돌봄역량, 돌봄경험의 평가(돌봄부담, 돌봄만족), 자조집단지지의 수준이 자녀의 장애유형(정신장애, 신체장애)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자녀 부모 301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정신장애 유형 180명과 신체장애 유형 121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의 잠재평균분석을 위해 형태동일성 검증, 측정동일성 검증, 절편동일성 검증, 요인분산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에 비해 자조집단지지와 돌봄부담이 더 높게 분석되었고, 반대로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집단에 비해 돌봄만족과 돌봄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서비스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 대상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분석결과
  3.1 측정변수간 기술통계치
  3.2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3.3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간 차이검증
  3.4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잠재평균 비교
 4. 결론 및 논의
  4.1 결론
  4.2 논의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유리 Yu-Ri Lee.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남중 Nam-Jung Kim. 남부대학교 특성화사업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