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중국 소비자의 자기일치성과 대중문화 관여도가 한류콘텐츠 평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n effects of China consumers' self-congruence and public-cultural involvement on Hallyu contents evaluation and attitude

박세정, 최지연, 노전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supply useful suggestions for the market segmentation of the Chinese market according to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self-congruence) of customers. Second, it figures 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actual self-congruence and ideal self-congruence. Lastly, it reveal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of attributes according to the popular cultural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actual self-congru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tents factor evaluation while ideal self-congruence had positive effect on the human and cultural factors evaluation. Also, the human and cultural 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content factor and cultural factor had the influence on the word-of-mouth. In addition, the group of highly interested in the involvement at the popular cul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valuation on the human and contents factor than the low group.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 이미지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자기 일치성이 한류콘텐츠 제품 평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 개인의 심리적 변수에 따른 중국 시장 세분화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현실적 자기 일치와 이상적 자기 일치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한다. 이는 한류 콘텐츠 제품에 대한 소구에 있어, 적합한 심리적 근접성 전략을 사용하게 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 관여도에 따른 속성에 선호에 차이가 있는지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한류 콘텐츠의 다양한 속성을 구분가능하게 하고 중심속성과 지엽적 속성을 구분하는 단서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 현실적 자기 일치는 한류콘텐츠 속성 중 콘텐츠 요인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이상적 자기 일치는 한류콘텐츠 속성 중 인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평가는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콘텐츠 요인과 문화적 요인이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중문화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인적 요인과 콘텐츠 요인에 대한 평가가 유의하게 높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한류콘텐츠
  2.2 인지균형이론(cognitive consistency theory)과 자기일치성(self-congruence)
  2.3 소비자 관여도(involvement)
 3. 연구가설과 모형
  3.1 자기 일치성과 한류콘텐츠
  3.2 한류콘텐츠와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
  3.3 대중문화 관여도에 따른 한류콘텐츠 선호요인 차이
 4. 연구방법 및 분석 결과
  4.1 연구 방법
  4.2 연구모형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4.3 가설 검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세정 Se-J eung Park.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경영학과
  • 최지연 Jiyeon Choi.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경영학과
  • 노전표 Jeonpyo Noh.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