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스트모던시대의 한국 토착적 이머징 교회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Korean Indigenous Emerging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홍승철, 황병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Korean indigenous emerging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These days, the Korean church faced crises and needs a suitable model for growth because it has been slowed down in post-modern era. The Korean church faces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f the society and the church itself. For this, first, the study wi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global trends of postmodernism which has come to the Korean context. The study will examine the emerging church in the Western cultures that have experienced a dismantling crisis before the Korean church faced. It also discusses background understandings of the emerging church as histor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and figures out its characteristics. With theoretical bases, this will apply them to the Korean church context as well. Four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culture are derived as features of the emerging church: returning to the original church to restore the tradition of early church, focusing on empirical church, leading to participatory church, and getting actively acceptance of post-modern culture. Next, this study figures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ulture and its elements appearing in the traditional Korean church. The elements of Korean postmodernism in socie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riginal church will be discussed. The sense of community as “one group”(uri) in Korean culture can be combined with post-modern culture to emphasize relationship in the Korean church. It is manifested in spirit of union in Korean church. Also, “gi(the energy)” in Korean can be experienced in post-modern culture in Korea. It is an autogeny and independent church. The feature of community adds up “heung” and “sinbaram” in Korean presenting as “excitement” It indicates that the church has only created a unique religious mentality. In addition, “Jeong”(Affection) in Korean can be a directional image which is combined with the post-modern church in Korea. This enables Korean church to share the pain with Korean people. Finally, this study will challenge the changes in time for the Korean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For this, the study suggests three basic features for the Korean indigenous emerging church. The first feature is the recovery of the early original Korean tradition church. Basically Korean church needs to return to being early churches in the first-century showing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also return to being early original Korean church in the 19th century. The Second feature is to breed a laity for the next generation in the Korean church. The third feature is the appearance of the church to foster better relations within the community.

한국어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시대 한국적 이머징 교회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현대는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한국에서 기독교 전래 때부터 후기모던시대까지 가장 대응을 잘하고 사회를 선도해간다는 평가를 받던 한국교회가 포스트모던 시대에 접어들면서 오히려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한국교회가 모델로 삼은 구미교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이 서로 다른데서 기인한 것이 크다. 모던시대에는 우리보다 앞선 경험을 가진 미국교회를 모델로 삼아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미국의 선교사와 유학을 다녀온 한국 교회 지도자들이 소개한 교회의 선진 문화들은 기존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최신의 문화였고, 한국사회는 한국교회를 새로운 문화의 습득창구로 삼았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시대에 넘어오면서 미국교회 모델의 답습만으로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한계가 생겼다. 특히 미국과 다른 한국의 독특한 포스트모던 구조는 이런 상황을 더 촉진 시켰다. 본 연구는 우리보다 먼저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 해체의 위기를 겪은 미국과 유럽의 이머징 교회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에 어떻게 적용할지 연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장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의 장점과 한계도 함께 고찰해보려 한다. 또한 포스트모던 문화에 대한 보편적 대안 모델로 거론되는 서구 이머징 교회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도 살펴볼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구도자 중심 예배”가 그러하였듯 변화를 요구 받고 있는 한국교회로서는 서구의 이머징 교회 모델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훌륭한 대안 중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양과 다른 한국 특성에 맞는 교회 구조를 세우기 위하여 서구 모델을 넘어 한국 토착적 적용 모델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 할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포스트모더니즘 비판적 고찰과 이머징 교회
 III. 한국의 문화적 특징과 한국 토착적 교회의 특징
 IV. 한국 토착적 이머징 교회와 방향성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승철 Hong, Seung Chel. 호서대학교 강사 / 실천신학
  • 황병준 Hwang, Byung-June. 호서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