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 삐아제의 인지발달 단계를 기초로 한 아이들의 죽음인식과 죽음교육

원문정보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and Teaching them about Death: Based on Jean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 Theory

윤득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Jean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 theory, and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in relation to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In particular, I examine children’s perception of death focusing on the preoperational and concrete operational stage of cognitive development. These two stages are viewed as an intermediate period which prepares and organizes concrete thinking, which in turn, prepares for the final period of formal thinking. The final period of formal operations, during adolescence, involves the integration and culmination of earlier periods in which the mature adult level of cognitive structure and function is obtained. In this sense, developmental stages are influential to form of adults’ thinking. To understand children’s perceptions of death in accordance with their developmental stage help parents and teachers establish foothold so as to teach them about death at home and school. From thi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teachers can comfort appropriately them and help children express their feelings of anger, guilt, sadness, frustration in early time of the los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parents and teachers to take death education so that they can give children correct lessons about death. In this paper, I suggest effective ways of teaching children about death and helping grieving children for parents, teachers, and religious leaders.

한국어

본 논문은 장 삐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각 단계별 아이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하고, 상실로 인해서 슬픔을 겪는 아이들을 어떻게 돌봐야 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특별히, 이 논문에서는 삐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중, 전조작기(3-7세)와 구체적 조작기(7-12세)에 초점을 맞추어서 설명을 한다. 이 두 시기는 구체적인 사고를 위한 준비 단계임과 동시에 마지막 단계인 형식적인 조작기로 향하기 위한 예비단계이기도 하다. 삐아제는 형식적인 조작기, 즉 13세 이후의 아이들의 인지는 어른들이 사고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어린 시절의 인지발달은 성인이 되어서의 사고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별히, 발달 단계별 아이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은 가정과 학교, 교회공동체에서 어떻게 죽음에 대해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발판을 마련해 준다. 또한, 부모나 조부모를 상실한 아이들을 어떻게 돌보고, 그 상실의 초기에 느끼는 분노, 슬픔, 죄책감, 절망 등의 감정에서 회복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도움을 위해서 부모와 선생님들이 먼저 죽음에 대한 바른 교육을 받고, 아이들의 발달단계에 따라서 죽음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이야기하고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정, 학교, 신앙공동체에서 아이들과 죽음에 대해서 어떻게 이야기하고 가르쳐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삐아제의 이론의 기본적 이해
 III. 삐아제의 이론의 단계에 따른 아이들의 죽음 인식
  1. 전조작기와 아이들의 죽음 인식
  2. 구체적 조작기와 아이들의 죽음인식
 IV. 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해서 가르치고 슬픔 위로하기
  1. 가정
  2. 학교
  3. 신앙공동체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득형 Yoon, Deuk-Hyoung. 감리교신학대학교 강사 / 실천신학 / 목회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