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왕따의 동조자 및 방관자 심리 분석과 기독교 상담적 돌봄 - 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sychological analysis of followers and onlookers in Bullying and implication for pastoral care

고유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a few years what the bullying, particularly the bullying of youth, the great social issue now. Most TV program, Drama and Movie, in which the young people occur related to bullying. The problem of bullying is the main concern of people who live in this time. Of course, the phenomenon of bullying in recent years is not suddenly formed. the problem of bullying, there were various expressions and in different form in the past. And the age of bullying is not restricted to youth. In adults, the phenomenon of bullying appears in the workplace, also appears among friends, and even it might appear in the church. But we should note that most of the people who suffer as victims of bullying, have for the first time experienced bullying at school. The school is of course a place that children and youth learn the knowledge. However, the school aims and encourages that they form a sense of healthy communities. It was shocked and intolerable that the problem of bullying appears at school, and that the victims of bullying by the experience of excessive in sensation of anti-community witnessed the despair and the failure of the people. Thus, many researchers try to youth, to solve the problem of bullying by the researchers interpret the phenomenon of bullying. They often consider the problem of bullying as a social-structural problem. It is not wrong. However, I think that for the exact analysis of bullying at first the problem of bullying needs to be researched in the personal dimension, before the problem of bullying is researched in the social-structural dimension. So I want to present the grounds for an argument with this article how the phenomenon of bullying is produced in human life, whoever is the perpetrator or the victim in the problem of bullying, and how can help pastoral counselor the offender and the victim.

한국어

최근 몇 년 전부터 왕따,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의 왕따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고, 현재에도 왕따는 여전히 커다란 사회적 문제이다. 청소년 TV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영화의 주제 중 상당수가 왕따와 관련되어 있다. 그만큼 왕따와 관련된 문제는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물론 왕따는 최근 갑작스럽게 형성된 현상은 아니다. 왕따는 예전부터 여러 가지 표현과 형태로 있어왔다. 또한 왕따의 연령대가 청소년에만 국한된 것도 아니다. 성인들의 경우 직장 내에서 왕따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친구들 사이에서도 나타나기도 하며, 심지어 교회 내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하지만 왕따 현상으로 인해 피해를 당했던 사람들의 대부분이 최초 학교 내에서 왕따를 경험한다는 것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학교는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지식적 배움에 대한 목표뿐만 아니라, 건강한 공동체감을 키우기 위한 목표를 갖고 모인 장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모인 학교에서 왕따의 문제가 발생되고, 왕따를 경험한 아이들이 극단적 반공동체감의 경험을 통해 인간에 대한 좌절과 실망을 체험하게 되는 것은 매우 충격적이며,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현실이 매우 안타까울 뿐이다. 그래서 많은 청소년 연구자들은 왕따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이러한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왕따의 문제를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바라본다. 그러한 연구가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구자는 왕따 현상을 사회 구조적 문제로 바라보기 전에 개인적인 차원에서 바라보는 시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왕따의 구조 속에 놓여 있는 개인을 분석하고 돌보는 노력을 통해 사회 구조 역시 분석되고 치유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 판단된다. 그래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어떠한 통로로 왕따라는 현상이 우리의 삶 속에 발생 되었는지 살펴보고, 이 현상 속에 나타난 가해자와 피해자는 누구이며, 또한 기독교 상담가들은 이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왕따의 심리학적 정의와 구조
  1.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본 왕따
  2. 왕따의 관계 구조
 III. 왕따의 동조 및 방관 심리 분석
  1. 왕따의 근본 원인으로서의 열등감
  2. 권력을 향한 의지 표현으로서의 왕따
  3. 우월감 표출로서의 왕따: 열등 Komplex에 대한 자기 보상으로서의 왕따
  4. 왕따의 동조자 및 방관자들의 지배적 감정: 실존적 공허감과 불안
 IV. 왕따로부터의 자유를 위한 기독교 상담적 접근
  1. 개인적 차원에서의 돌봄: 삶의 의미 발견을 통한 돌봄
  2. 집단적 차원에서의 돌봄: 관계의 상호성과 역동성을 통한 돌봄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유식 Ko, You-Sik. 감리교신학대학교 강사 / 실천신학 / 목회상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