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전후 70주년, 한일수교 50주년

일본 신문에 나타난 「혐한」언설의 의미 고찰 ‒ 1992년부터 2015년까지의 아사히신문(朝日新聞)과 산케이신문(産経新聞)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the meaning of ‘Hating Korea’ statement through the Japanese newspapers - Mainly with the Asahi newspapers and Sankei newspapers from the year 1992 to 2015 -

다와라기 하루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Hating Korea’ divide into three parts appeared on newspapers from the year 1992 to 2015. The first part(1992-1998):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prime minister had apologized for the war crime ,the Korean government pounced on the matter of the Japanerse military sexual slavery as a diplomatic problem. It triggered a phenomenon known as “Hating Korea”. The second part(1999-2011): Japan-South Korea Joint Declaration of 1998 has led to increased positive awareness of Korea through the 2002 World cup, and the Korean Wave in Japan. However, it has also triggered a phenomenon known as the “Hating Korea” due to increased awareness of various Korean-Japanese disputes such as the issue of the broadcasting 2002 world cup and kidnapping Japanese in North Korea. Also, the ‘Anti-Korean’ comic book was published in 2005,and ‘Zaitokukai’ founded in 2007 did ‘Hate speech’ toward Zainichi Koreans. They regulated Korea, North Korea, and Zainichi Koreans as anti-Japanese. Nevertheless, the Asahi and Sankei newspaper seldom said about these phenomenons in this term. The third part(2012-2015): After president Lee myung-bak visited the Dokdu(Takeshima), the ‘Hating Korea’ statement has been overflowed in the magazines, newspapers and ant-Korean books in Japan. The launching of the Abe Shinzo government and Park geun hye government in 2013, diplomatic problem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exclusive media and nationalism of the two countries were in the back ground of the phenomenons.

한국어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15년까지를 제3기로 구분해서 일본의 신문 속 「혐한」언설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기 : 1992-1998>일본군의 「위안부」문제를 외교문제로 쟁점화하는 한국정부에 대해서, 그 이전까지 한일우호에 전념해 온 일부 사람들의 사이에서 한국과 거리를 두려는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이것을 「혐한」감정이라고 기술했다. <제2기 : 1999-2011>1998년의 「한일공동선언」을 통해서 활발해진 한일 민간교류와 월드컵, 그리고 2003년부터 시작된 한국 드라마의 유입을 통해서 한류가 시작되었고, 여론조사에서 한국에 친근감을 「느낀다」가 「느끼지 않는다」보다 상회한 시기이다. 하지만 월드컵 보도와 북한의 납치사건을 계기로, 인터넷 공간에서는 「혐한」언설이 확산되었고, 이는 「만화 혐한류」를 기폭제로 해서 일반 사회로 분출되었으며, 재특회의 재일코리안에 대한 헤이트 스피치 등의 형태로 인터넷 밖의 시민 공간으로 확산되었다. 그라나 같은 시기, 산케이와 아사히 모두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한 대부분의 기사가 「혐한」언설로는 표현・게재되지 않았다. <제3기 : 2012-2015>「혐한」언설은 혐한서적을 비롯한 보수계 잡지, 주간지, 일간지 등을 통해서 불특정다수인 일반 국민들에게 전달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기에 발족한 한일 양국의 현 정권은 일본군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역사인식의 차이로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일 양국의 미디어는 서로 배타적 내셔널리즘의 언설을 전개했다. 이와 같이 국교정상화 이래, 최악의 한일관계를 배경으로 「혐한」언설 역시 한국 국민 모두가 「반일」인 것처럼 보도하면서, 「반일」외교, 「반일」행위라고 라벨링하며, 「혐한」의 모든 원인은 「반일」보도를 하는 한국 미디어와 「반일」국가인 한국정부에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목차

1. 서론
 2. 「혐한」언설에 대한 선행연구
 3. 신문기사에 나타난 「혐한」언설의 의미(1992년-2015년)
  3.1 「한국에 대한 친근감」과 「혐한」의 기사 게재 건수
  3.2 아사히신문, 산케이신문 기사에 나타난 「혐한」언설의 의미
   3.2.1 제1기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외교 문제화로부터 한일공동선언까지(1992년-1998년)
   3.2.2 제2기 한일관계 완화기에서 한류 절정기까지(1999년-2011년)
   3.2.3 제3기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다케시마) 방문에서 혐한서적의 출판까지(2012년-2015년)
 4.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다와라기 하루미 Tawaragi, Harumi. 광운대학교 광운한림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