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버코위츠(M. W. Berkowitz) 도덕 해부학의 도덕 교육적 함의

원문정보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erkowitz’s Moral Anatomy

김재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ral anatomy and moral education approach of Berkowitz and search for implications of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from Berkowitz's perspective. Berkowitz regards nature of moral person as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moral person are as follows: moral behavior, moral character, moral values, moral reason, moral emotion, moral identity, meta-moral characteristics. And Berkowitz presents a comprehensive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moral anatomy. From Berkowitz's perspective,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canl be offered a lot of suggestions. First, with regard to the general goals of moral education, if once a expecting status of moral human is settled specifically through complementary statement describing a multidimensional moral human nature as a specific moral qualities of the 'character building' specified in the general goals of moral education or full-scale modifications to the general goals of moral education and then the moral education strategy is deduced therefrom, the general goals of moral education will be able to present a more concrete and systematic orientation for moral education. Second, with regard to the moral educational strategy, in other to be more effective moral education in school, formal and informal moral education is approached separately needs to be systematically integrated in the moral education of school dimens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버코위츠의 도덕 해부학과 도덕 교육적 접근을 고찰하고, 그의 관점에서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다. 버코위츠는 도덕적 인간의 본성을 다차원적 -도덕적 행동, 도덕적 인격, 도덕적 가치, 도덕적 추론, 도덕적 정서, 도덕적 정체성, 메타 도덕적 특성 -으로 이해한다. 그리고 다차원적 도덕적 인간 본성을 바탕으로 포괄적 도덕 교육을 제시한다. 이러한 버코위츠의 도덕 교육적 관점이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도덕과 교육 목표와 관련하여, 총괄 목표에 명시된 ‘인격 형성’에 대한 구체적인 도덕적 자질을 다차원적인 도덕적 인간 본성으로 규정하는 보완적 진술을 통해 혹은 도덕과 총괄 목표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 작업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도덕적 인간상을 먼저 설정하고, 그로부터 도덕 교육적 전략을 연역해 낸다면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도덕과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도덕 교육적 전략과 관련하여, 학교 도덕 교육이 보다 효과적인 도덕 교육이 되려면 기존의 분리적 접근이었던 공식적․비공식적 도덕 교육을 학교 차원의 도덕 교육에서 체계적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도덕적 인간의 통합 모델: 도덕해부학
 Ⅲ. 도덕 교육의 포괄적 접근
 Ⅳ. 도덕 교육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식 Kim, Jae-Sik.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