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mind and body dualism and examine the meaning and education of body in moral education. In modern times, body is an important theme but body in moral education has long been ignored. Because body as a material thing was considered as the cause of sense, feeling, desire and the obstacle in pursuit of truth. However, body should be understood by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body as biological organism, the body as bearer of sensation, thinking body, social and cultural body. We are our bodies, aware of moral situation through body and acquire the knowing of moral practice with body. Therefore, we should revive the meaning of body in moral education. I have studied the negative perspective of body as the symbol of moral corruption in moral education through Phaidon and the positive perspective of body as the possibility of moral body through moral cultivation(修身) of Confucian perspective. We need to recognize the moral subject of body. Moral thinking takes place in the body through moral experience. Body is not the tool of moral thinking in the mind.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body in moral education is the activation of tacit and pre-cognitive moral experience of body, the recovery of touch and feeling of body and recognizing of moral desir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에 대해 비판하고 몸이 도덕교육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교육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현 시대는 몸이 중요한 주제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나 몸은 오랫동안 도덕교육에서 소외되어 왔다. 그 이유는 몸이 감각, 감정, 욕망 등과 관련되어 있어 진리를 탐구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몸은 생물학적 몸, 감각하는 몸, 생각하는 몸,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몸 등 종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는 몸으로 존재하고 몸으로 도덕적인 상황을 지각하고 앎을 얻으며 몸으로 도덕적 실천을 한다. 그리하여 몸은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야 하고 몸의 의미를 되살려야 한다.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몸에 대한 부정적 관점으로 파이돈에 나타난 도덕적 타락의 상징이 되는 몸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았고, 몸에 대한 긍정적 관점으로 유가적 접근의 수신(修身)을 통해 도덕적 몸이 가능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양자를 넘어서, 몸을 도덕적 주체로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몸은 마음에서의 도덕적 사유를 단지 실천하는 기관으로 이해될 것이 아니라 몸도 도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덕교육에서 몸에 대한 관점은 암묵적이고 비인지적인 몸의 도덕적 경험을 활성화하는 방식, 몸의 촉감과 느낌을 되살리고 도덕적 욕망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몸에 대한 종합적 이해
Ⅲ. 몸에 대한 부정적 관점과 도덕
Ⅳ. 수신을 통한 도덕적 몸의 관점
Ⅴ. 도덕교육에서 몸은 어떻게 이해되고 교육되어야 하는가?
1. 도덕적 주체로서의 몸에 대한 자각과 성찰
2. 몸의 촉감과 느낌을 되살리는 도덕적 경험하기
3. 몸의 도덕적 욕망을 인정하기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