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제정 말 러시아에서 농민의 토지보유구조와 가구경제 - 보로네슈주와 탐보프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Land tenure and peasants’ economic situation in the Black Earth region of Russia in the late XIX - early XX centuries - based on the statistics of Voronezh and Tambov provinces -

양승조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35집 2015.12 pp.315-34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XIX - early XX century in Russia, especially in the Black Earth region, was ubiquitously prevailed communal allotment landownership which was applied to all categories of the peasantry. The amount of land, owned by the peasants, was constantly expanding. But the increase in the total amount of land among the peasants did not indicate that all the peasant families lived stably and steadily. This implies several conclusions. First of all, the total amount of land which was available to the peasants increased, but the area of ​​allotment land, which affected the economic condition of the majority of peasants decreased. Secondly, peasant communities and associations in the Voronezh and Tambov provinces had to buy land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duced portion of allotment land. However, thirdly,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easant steadily deteriorated. Peasant communities supplemented the shortage of allotment land by means of land purchased by peasant, but it was not a guarantee of stability of their economic situation. In addition, the most basic factor,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amount of peasant land, was private and personal estate of the peasant. When we were given the fact that, basically, the opportunity to buy the land had the middle peasant and above, then we can think tha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asant households that had their own land and the amount of their land reflect an increase of peasant strata of the middle and wealthy. In Russia since 1861 land rent played a major role in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peasants. For some households rent was favorable for the expansion of their activities, and for others it was a deal for the needs. The poor peasant rented land in small plots for a shorter period in order to meet food needs. Wealthy farmers rented land to increas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which were exported to the domestic and foreign market. That is, they were engaged in business. Therefore, land rent not reduced differences between the peasants according to economic strength, but increased and intensified them.

한국어

본 연구는 제정 말 러시아에서 농민층의 경제 상황을 토지보유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드러내고, 그 연장선상에서 토지임차가 농민경제에 가지는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정 러시아 정부에서 작성한 자료와 지역 젬스트보에서 수집한 자료들 중에서 보로네슈 주와 탐보프 주와 관련된 수치들을 선별하여 분석했다. 그리고 흑토지대에 위치한 두 지방에 거주하고 있던 농민들의 토지보유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러시아 흑토지대에서 농민토지보유구조는 농노해방 이전 신분 별 토지보유 상황과 상당히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1861년 이전 러시아에 있던 농민들은 크게 국가농민과 영지농노로 분류할 수 있는데, 토지보유구조와 노동조건 등에 있어 국가농민이 훨씬 더 좋은 상황에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농노해방 이후에도 유지되어서, 19세기 후반에도 구 국가농민이 구 영지농노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었다. 구 영지농노는 ‘영지-토지보유선택농민’과 ‘영지-무상토지선택농민’으로 나뉘는데, 이 중 농노해방 이전 시기 보유지 면적의 1/4에 불과한 작은 면적의 토지만을 받고 해방된 영지-무상토지선택농민은 분여지만으로는 생활이 불가능한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었다. 둘째, 농민들 사이에서 사유지를 소유한 부농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사유지는 크게 농민공동체와 개인 농민이 구입한 토지로 구분할 수 있다. 농민공동체 구입지는 부족한 분여지를 보충하기 위해 농민공동체 전부 또는 일부 구성원들이 같이 구입한 토지였기에, 이를 분배받을 수 있는 권리는 구입에 참여한 농민들에게만 주어졌다. 이에 더해, 농민들 중에는 자신의 돈으로 토지를 구입할 수 있는 이들도 존재했다. 그런데, 이러한 사유지 면적은 19세기 말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즉, 분여지 외에도 자신의 사적인 토지를 소유한 부농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증가하고 있었던 것이다. 셋째, 농민들은 임차를 통해 토지를 획득했다. 토지 임차는 분여지가 적은 농민들에게는 부족한 토지를 보충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었다. 문제는 이들이 필요로 하는 토지 면적은 가구경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였던 반면, 주로 토지를 임대했던 지주나 농민공동체는 커다란 단위로 토지를 임대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커다란 단위의 토지는 부농만이 임차할 수 있었다. 부농은 대규모 토지를 임차한 후, 일부는 대규모 농업경영을 통해 잉여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사용했으며, 다른 일부는 작은 단위로 분할한 후 자신이 임대한 가격보다 더 비싼 임대료를 조건으로 필요로 하는 농민들, 주로는 가난하나 토지가 부족한 농민들에게 임대했다. 그 결과 토지 임차는 부유한 농민과 가난한 농민 사이의 경제적 불평등을 상쇄하는 기능을 한 것이 아니라, 그 반대의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목차

I. 머리말
 II. 농민토지보유구조
 III. 농민토지임차구조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양승조 Yang, Seung J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