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s both comprehensive meta-analysis on the research subject focused on the Korean media discourse analysis method study. This meta-analysis study deal with 54 articles published in the six major korean communication study journals during the period of 1992-2014. A meta-analysis based on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 First, researchers have inconsistently defined the terms, ‘discours’ or ‘discourse analysis’ and their conceptualization has largely been derived from their own perspective. Second,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analysis are varied based on linguistics, social linguistics, semiotics, social semiotics, critical linguistics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he most recent trend for the study of media discourse is an approach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media discourse stud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poverty of media discourse study in korea in researcher and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regarding the media discourse.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 논문에 대한 전체적인 메타분석을 시행해 봄으로써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가 현재 어떠한 학문적 지형에 있는지를 정리 및 조망해 보고 국 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발전적인 측면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국내 미디 어 담론 분석 연구 논문의 메타분석 결과,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는 비판적 언어학의 영 향을 받으면서 문화연구 전통의 비판적 미디어 담론 분석 전통과 비판적 언어학을 배경으로 하는 비판적 담론 분석(CDA)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미디어 담론 분 석 연구 분야는 국·내외에서 공부한 소수의 미디어 문화연구자들에 의해서 산발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어서, 좀 더 담론 지식을 공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화 된 미디어 담론 연 구자의 확충과 이를 통한 깊이 있는 미디어 담론 지식 생산이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진영의 과제로 분석되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담론에 대한 용어의 정의
3. 미디어 담론분석 접근법
1) 언어학 및 사회언어학적 분석 접근법
3) 기호학
4) 비판적 접근법
3. 국내 담론분석 연구의 메타분석
1) 분석 대상 논문 및 내용분석 범주
4. 분석 결과
1) 분석 논문의 학술지 및 연도별 분포
2) 미디어 담론 분석 매체 및 분석 대상
3) 미디어 담론분석 연구 담론 유형별 적용된 이론
4) 담론 유형별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 방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