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선사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인물상 고찰

원문정보

Study on the Anthropomorphe of Prehistoric Rock Art

이상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thropomorphe Character expressed on the rock art of prehistoric times is an important symbol that shows the inner world of the group of that period and a picture that shows an aspect of life. Anthropomorphe was often expressed independently as the figure of God, however it was created with a scene along with the animal or tool, etc..., or as the fantastic being that cannot be seen in the actual world. Anthropomorphe figures expressed on the rock art of Korean prehistoric times can be divided into half man and half beast figure, whole body figure that was expressed in hunting of fishing, etc., figure of the face, picture of generative organs as the vulva or that symbolized this, footprint, and the picture that expressed as if by personification, etc. Half man and half beast figure, which seemed to express supernatural object, could be found in Bangudae and Cheonjeonri rock art. Such character seemed to have expressed a special being based on the ritual ceremony of the group that had religion or mythic story. Anthropomorphe expressed in the scenes as hunting or fishing, etc. were mostly expressed in the whole body figure. Only Bangudae rock art human figure expressed the penis, which had no vulva that could be found in other relics. This is regarded as the change of symbolic concept based on the hunting period of Neolithic Age and agrarian society of Bronze Age and difference in occupation. In the rock art, presumed to have expressed in the dolmen group of Bronze Age, there’s no character expressed with penis, on the contrary to Bangudae rock art, however there are lots of pictures with the motif of sword and generative organs. The pictures of Bronze Age rock art based on the motif of generative organs were presumed to be the symbol with binominal conflict structure e.g. penis/vulva= god of sword/handle= Geompa type/triangle= triangle/inverted triangle and personification.

한국어

선사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인물상은 당시 집단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이자 삶 의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인물상은 흔히 신상처럼 독자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동물이나 도구 등과 함께 하나의 장면을 연출하거나 현실세계에서 볼 수 없는 환상의 존재로 표현되기도 한다. 우리나라 선사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인물상은 반인반수상, 사냥이나 어로 등 장면 속에 표현된 전신상, 얼굴만 표현한 그림, 음문과 같은 생식기관이나 이를 기호화한 그림, 발자국, 의 인화한 듯이 표현한 그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초자연적인 대상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는 반 인반수상은 반구대와 천전리 암각화에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물상은 종교나 신화적 스토리 를 배경을 갖고 있는 당시 집단의 제의의 대상으로 특별한 존재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사냥이 나 어로 등 장면 속에 표현된 인물상은 대부분 전신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반구대암각화 인물상 에서만 남근을 표현하고 있으며 다른 유적에서 볼 수 있는 음문은 볼 수 없다. 이는 신석기 수렵 사회와 청동기 농경사회라는 시대와 생업의 차이에서 비롯된 상징 관념의 변화로 여겨진다. 청 동기 지석묘 집단에서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암각화에서는 반구대암각화와 반대로 남근이 표 현된 인물상을 볼 수 없으며, 검과 생식기관을 모티브로 한 그림들이 많다. 청동기시대 암각화 에서 나타나는 생식기관을 모티브로 한 그림들은 남근/음문=검신/손잡이=검파형/삼각형=삼각형/역삼각형과 같은 이항적 대립구조를 갖는 기호와 의인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국문초록>
 I. 앞서는 말
 II. 후기구석기시대 인물 표현
 III. 우리나라 암각화에 표현된 인물상 검토
 VI.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상목 Lee Sangmog. 울산암각화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