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속모티프를 활용한 무용시극(詩劇) 창작방법 시론(試論)

원문정보

An Essay on Creative Methods for Poetic Dance Drama Using Shamanism Motifs : Focused on <Kokdugaksi Norum> practice

임수경, 김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ditional art genres have been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as new types in a 21st century that is already accustomed to diversity. In particular, modern art was grafted to digital media to escape the negativ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class to enjoy something through an expansion into popular culture with de genre. As a result, the art world was able to determine how to promote this expansion, leading to a fusion and reinven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genres. Recently, the attempt to develop a research-intensive genre has been progressing by grafting arts genres, differentiated under a paradigm called “The same starting point,” through exchanges and convergenc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given to graft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to dance creation and performance in a fusion of literature and dance. This fusi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the two genres. One is poetic dance, with the poetry-dance concept expressing poetic nature through dance, while the other is the dance scenario poem, with the dance-poem concept focusing on performing arts. Though the two concepts are not independent art genres, from the viewpoint of fusion and re-creation, they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how they individualize dance’s deep poetic soul and poetry’s dynamic sym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reative methods for poetic dance drama, with the essay focusing on creative process methods for three dance poems using a typed person with repose of souls through the symbolic images of Kokdugaksi Norum, which is a traditional drama, in convergence with the plot of ssitgimguk (a shaman ritual for cleaning a dead person’s soul), which is a folk ritual of sacrifice, and modern poetry. In Chapter 1, for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poetic dance drama, the prior research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dance will ber reviewed, while Chapter 2 will premise the creation of poetic dance drama, analyzing the story and character structure of “Lemuralia” in order to apply in earn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 ritual of sacrifice and original art to creative activities. In Chapter 3, the essay will explore creative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poetic dance drama. It aims to expand the arts in modern society by encompassing an emotional re-convergence with different arts genres from traditional society. In order to complete the poetic dance drama, Kokdugaksi Norum, conduct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summarizes the creative methods of poetic dance drama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ree points of view. The first is a mix between arts genres that borrow from Korean culture. The second coordinates poetic creation and the language arts within a process for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symbolic and dynamic movements of dance, body arts in terms of recognizing performing arts. The third fuses poetry with dance in combination with dynamic images to recognize the poetic soul and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inherent in communication, individuality, and the convergence of arts genres in terms of creating community awareness that can be interpreted as an object of symbolic meaning.

한국어

본 연구는 시와 무용의 융합형태로 무용시극의 창작과정 및 실재를 분석․정리하여 융합예술에 한 이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융합적 사고가 활발한 21세기 현사회에서 기존의 예술장르는 새로운 형태로의 융합 및 발전을 꾀 하기 시작하다. 특히 현예술은 디지털매체와 접목되면서 탈장르화와 함께 중문화로의 확를 통 해 기존 예술 향유계층의 확장을 유도하고자 하다. 이때 예술장르간의 ‘소통과 통합’은 융합과 재창조 를 이끌어내면서 역의 확장을 도모할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의 세계화를 위한 한국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창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무속모티프를 활용한 무용시극에 집중했다. 2장에서는 무속모티프가 가지고 있는 원형과 제의의 통합적 논의에 해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3장에서는 융합예술의 한 장르인 전통극 ‘꼭두각시놀음’의 상징이미지와 민간제의인 ‘씻김굿’의 스토리 구조, 그리고 현시를 통해 유형화한 진 혼의 인물을 도출해 냈다. 제시한 융합창작방법의 시론을 검증하기 위해 4장에서는 창작무용시극인 <꼭두각시놀음> 실재를 분석했다. 기존에 무용시 혹은 시무용에서 시(text)가 무용본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본 무용시극에 서의 시(text)는 에필로그의 독무(獨舞)와 함께 무배경에 상되면서 본[text]만의 한계에서 벗어났 다는 연구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무용시극이 가지는 장르적 한계를 넘어서는 시도 또는 무 용(안무)가와 시인과의 타협점에 한 재정립, 시와 안무의 선후문제 등이 융합창작에 한 이론을 정 립함에 있어서 함께 고려된다면, 무용시극이 갖는 융합예술의 추상적인 연계성에 보다 체계적인 논리성 이 첨부되리라 기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시무용’ 혹은 ‘무용시’라는 용어가 ‘무용시극’처 럼 창작자들의 소통과 융합에 초점을 맞춘 융합창작의 장르화로 정립되기를 기한다. 그리고 이처럼 융합예술장르에 한 예술가(창작자)들의 적극적인 시도와 창작과정에 한 이론적 정립을 모색함으로 써 보다 궁극적으로는 현예술역의 확장을 이루어내는 데 본 연구가 교량적 위치를 담당하길 바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융합예술로의 무용시극(詩劇) 창작 전제
 Ⅱ. 원형과 제의의 통합적 논의
 Ⅲ. 창작에 활용할 무속모티프 분석
  1. 민간제의 ‘씻김굿’의 스토리 구조
  2. 시적 수용 사례로 본 인물 유형
 Ⅳ. 무용시극 창작 과정 및 실제 분석
  1. 발현 형식 분류
  2. 기획의도 및 메인캐릭터
  3. 장별 시작품과 무용안무 분석
  4. 마지막 임팩트와 융합예술작품의 공연학적 의의
 Ⅴ. 결론: 추후 융합예술 창작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수경 Lim, Sukyung. 단국대학교 교양학부 교육조교수
  • 김선정 Kim, Sunjung. 단국대학교 무용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