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과정에서의 절충성의 문제 : 한국 미술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며

원문정보

The Problem of Eclectic Curriculum : Analyzing Curriculum Contents in Korean Art Textbooks

박정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eclectic curriculum exploring the Korean art textbooks. They show that art curriculum as political text and phenomenological text doesn’t warrant exactly one practice which support a certain theory. This leads naturally that art practices can be integrated assuming the characteristic or nature of eclecticism in an art curriculum. However, the problem with eclectic curriculum is that it invites contradiction and inconsistency. In this context what is raised as epistemological questions are: How, With what goals, With what results? the aim and objective of eclectic curriculum are raised epistemological questions. Because rival conflicting concepts of arts are the very nature of the art world and the world, the curriculum content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values in art theories and practices. Because art theories are the evolution in history, history can be served as a kind of control upon a random or naive eclecticism. Moreover, in the larger context, each of art theory and art curriculum content are instructed as the product of various condition of lif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culture in our human history.

한국어

이 글에서는 현행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를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그 안에 내재한 절충성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치적 텍스트, 현상학적 텍스트로서의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은 하나의 이론이 하나의 정확한 실제를 보증하고 있지 않음을 파악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미술의 실제들이 콜라주의 형태를 취하는 지극히 혼합적인 성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절충성으로서의 교육과정을 어떻게 기획하는지가 교육과정의 핵심 문제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미술 교과서에서의 절충성은 단순한 임의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술 교육과정에서의 상반되는 또는 경쟁적 위치의 각기 다른 미술의 정의의 충돌의 문제를 인식론적으로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해 숙고하였다. 이 글은 다양성과 차이의 충돌이라는 시각에서, 그것이 또한 현실을 인지할 수 있다는 수준에서 미술 교육과정의 경쟁적 개념들의 상충성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미술교육과정의 이론과 내용이 미술의 역사를 배경으로 생성ㆍ전개된 것이기 때문에, 미술 역사의 가치와 지식에 내재한 사실들을 제시하면서 절충적 교육과정의 단순한 무작위성을 제거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 점은 더 큰 맥락에서 그 상충되는 경쟁적 개념들이 각기 이질적으로 다른 삶의 조건을 반영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교육목표를 기획하게 한다. 따라서 교수ㆍ학습 또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교육목표와 일관된 선에서 기획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목차

요약
 서언
 근대 이전의 미술 교육과정
  사실주의 미술: 관찰표현
  자연환경과 미술
 모던 시기의 미술 교육과정
  표현주의: 상상표현, 경험표현
  형식주의 미술: 조형요소와 원리 수업
  형식주의 작품 감상: 펠드만 법칙의 미술비평
  디자인과 생활 또는 미술과 생활
 포스트모던 미술 교육과정
  다문화 미술교육
  시각문화 교육
  텍스트 이론: 명화 변형하기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절충성의 특징과 문제
  미술과 문화의 정의
  절충적 교육과정
 절충적 교육과정에서의 상충적 개념들과 역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애 Jeong-Ae Park. 공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