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조선 후기 직조회화織造繪畫 재현연구 : 후쿠오카시립박물관[福岡市立博物館] 소장 ‘지직화병풍’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Reproduction about Weaving Painting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Focusing on Folding Screen of Weaving Painting

이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a sudden growth of the demand for art works by expansion of citizen’s economy, colorants that were easily obtained like cheap dye paints or earth colors were frequently used. In such paintings, numerous styles of paintings including of the art work called minhwa could be found and there were many sophisticated works with charming characters. Weaving painting(jijikhwa) of this study among many other paintings has a significant meaning. Jijikhwa is a completed art work as a screen which shows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from the periodical background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Organic pigments were applied and it is very unique to use jukji for the fundamental materials. In 2005, I had an opportunity to restore Jijikhwa screen and thought it as an object of study for materials and techniques of painting. Jijikhwa screen is a technique of expression to cut and weave after coloring a weak jukji. It is a precious and interesting art work. However, the technique to express patterns by weaving jukji thinly as it is shown in ‘jijikhwa screen’ is no more used in the present. Only similar techniques have been inherited. Therefore, it was probably one of the techniques loved in a special period and place. Through the reproduction of weaving painting, it is able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various painting techniques appear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udy about the traditional painting materials like organic pigments and jukji as well as painting techniques that used them. Henceforth, it will be very meaningful to research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weaving painting,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painting.

한국어

조선 후기는 시민경제의 확대에 의한 미술품의 수요가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값 싼 염료물감이나 토성안료와 같이 생활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색료가 다수 사 용되었다. 이런 회화들 중에는 ‘민화’로 일컬어지는 작품을 비롯한 많은 양식의 회화 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는 매우 세련되고 개성이 넘치는 작품도 쉽게 볼 수 있다. 다수의 회화 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것이 직조회화(지직화)이다. 지직화는 일반적인 회화와 달리 그림을 그리고 이를 직조하여 직물의 구조로 표현한 회화이 다. 그러나, 지직화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미술사 연구자나 수리복원가에도 매우 생소한 유물로 인식되고 있다. 선행연구로서도 『세계미술대전집(世界美術大全集)』과 『계간 미의소식[季刊美の たより]』에 작품해설에 불과하다. 앞선 연구에서는 독특한 제작기법이나 표현 방법의 고찰과 유 물조사를 통하여 지직화의 존재를 알리는 성과도 있지만, 유물조사가 일본 국내에 한정된 미흡한 부분도 있다. 더불어 직조회화의 양식과 도상 등이 한국이나 중국회화의 일종으로 평가 되고 있으며, 국적에 대한 추정도 불명확하여 관련 학계의 심도 있는 연구가 요 구 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의 필자는 수리복원가로서 문화재의 국적을 떠나 유물이 갖는 재료나 기 법의 분석을 근거로 단절된 전통기법의 재현과 현존하는 동종의 유물 보존처리와 복원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서론
 Ⅱ. 지직화병풍 조사
  1. 후쿠오카시립박물관[福岡市立博物館] 소장 <지직화병풍>의 광학적, 과학적조사
  2. 현존 지직화 유물조사
 Ⅲ. 지직화의 기법재현
  1. 재현공정
  2. 제작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현 Lee, Sang-hyun.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