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흉노 분묘의 구조에 대한 소고

원문정보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Xiongnu Graves

김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erarchy of Xiongnu graves in Mongolia and Transbaikal of Russia. This study analyze the features of Xiongnu graves and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their forms. Xiongnu graves confirmed through the excavations were generally assumed belong to the Northen Xiongnu period, the middle part of the 1st century BCE. Xiongnu grave consists of two structure parts. First, outward structure has a mounds which were exposed distinct or not, and some graves include passage. Next, the internal structure is divided into wooden, stone, earthen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he construction method or structure of principal part they are divided into double wooden compartment grave, wooden compartment grave, stone lined grave, wooden coffin burial, stone coffin burial, pit grave in details. In this article analyze 164 Xiongnu graves. Category is based on the type of graves passage, structure and form of coffin or outer coffin. Xinognu graves broadly divided into two groups, having a grave passage or not, type ‘Ga’, ‘Na’, and subdivided into five classes A to E. Type ‘A’ is wooden compartment tomb, type ‘B’ is stone lined tomb, type ‘C’ is wooden coffin burial, type ‘D’ is stone coffin burial, and type ‘E’ is pit grave. They Also divided into five groups, depending on the size of external mounds, to investigate whether any distribution pattern shown in each type.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The type ‘Ga’ included only wooden compartment tomb(type Aa, Ab) and turned out they belong to the graves of group 1․2․3. Type ‘Na’ is nonexistent has no double compartment tomb(type Aa), but all other types are confirmed. Also type ‘Ga’ has big size graves(type 1․2), and small graves(type 3․4․5) were included in only type ‘Na’. Taking into accoun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excavated artifacts, and classification graves type ‘Ga’ belongs to Xiongnu Chanyu, his clan and higher level, bureaucrat, on the other hand, type ‘Na’ belongs to provincial officials and ordinary people of Xiongnu.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몽골과 러시아 자바이칼 지역에서 확인된 흉노 분묘 자료의 분석 를 통하여 형식 분류를 실시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몽골 및 러시아 자바이칼 지역에서 확인된 흉노 분묘의 연대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세기 중엽 이후, 즉 북흉노 시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 조사된 흉노 분묘의 봉분은 일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드러 나 있는 사례가 많으며, 일부 분묘에는 묘도가 포함된다. 내부 시설, 특히 매장주체부의 경우 축조재료에 따라 목제와 석제로 나눌 수 있으며, 별도의 매장주체부 시설 없이 토광을 파고 곧바로 시신을 묻는 순수 토광 묘도 존재한다. 또한 축조방식 및 구조를 포함한다면 매장주체부는 이중목곽묘, 단 곽묘, 석곽묘, 목관묘, 석관묘, 순수 토광묘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흉노 분묘들의 성격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로 형식 분류 및 형식 분류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발굴 조사된 흉노 분묘 164기를 대상 으로 묘도의 유무, 곽 또는 관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형식 분류를 실시하였다. 세부 적으로는 묘도의 유무에 따라 묘도가 있는 ‘가’형식, 묘도가 없는 ‘나’형식으로 대분 하였고, 목곽묘를 ‘A’형식, 석곽묘를 ‘B’형식, 목관묘를 ‘C’형식, 석관묘를 ‘D’형식, 순수 토광묘를 ‘E’형식으로 세분하였으며, 또한 봉분의 크기를 5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각의 형식에서 어떠한 분포 형태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형식 분류의 결과 묘도가 설치된 ‘가’형식에는 이중곽과 단곽의 목곽묘만 존재하 였으며, 1․2․3군에 포함되는 분묘만 속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묘도가 존재하지 않는 ‘나’형식에는 이중곽의 목곽묘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외 다른 모든 소형식들은 확인되었다. 또한 분묘의 크기 역시 3․4․5군에 속하는 것들만이 확인되어 ‘가’형 식에 비해 소규모의 분묘들이 존재하였다. 형식 분류의 결과와 더불어 지역적 분포 현황 및 내부 출토 유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가’형식의 분묘들은 흉노 선우와 그 씨족들, 그리고 상위 계층의 관리 자들의 것으로, ‘나’형식의 분묘들은 지방의 주요 관리 및 일반 흉노 평민들의 것으 로 파악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연구사 및 유적 검토
  1. 연구사
  2. 유적 검토
 Ⅲ. 흉노 분묘의 구조와 형식 분류
  1. 구조
  2. 형식 분류
 Ⅳ. 흉노 분묘의 지역별 분포 및 특징
  1. 지역별 분포
  2. 지역별 분포를 통해 본 특징
 Ⅴ. 흉노 분묘의 위계
  1. 묘도 있는 분묘
  2. 묘도 없는 분묘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현 Kim, Young-Hyun.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2,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