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일부 종합병원 의무기록사의 직업전문성 인식도 및 그의 관련요인

원문정보

Professional Job Percep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edical Recorders engaged in General Hospitals

신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of the medical recorder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The study subjects were 428 medical recorder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andard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 to 30, 2015. As a results,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roup of lower age, lower educational level, the unmarried group than the married group, lower monthly income, lower BMI, lower job position, dissatisfaction in work, unfit to the job, considering quit the job, irregular exercise, irregular eating breakfast, lower perception on socioeconomic status of medical recorders, lower perception on socioeconomic status of oneself, and lower future status of medical recorders. In particula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In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of medical recorde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한국어

본 연구는 의무기록사들의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그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의무기록사 428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기간 동안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직업전문성 인식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기혼군보다 미혼군에서, 월수입이 낮을수록, BMI가 낮을수록, 직위가 낮을수록, 업무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 업무의 전환의사가 있다는 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의무기록사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인식할수록, 응답자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인식할수록, 장래 의무기록사에 대한 사회적 지위 전망이 좋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이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높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어 의무기록사들의 직업전문성 인식도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 변수들이 높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2.3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
 3. 연구결과
  3.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직업전문성 인식도
  3.2 직업관련특성별 직업전문성 인식도
  3.3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업전문성 인식도
  3.4 지위인식정도별 직업전문성 인식도
  3.5 직업전문성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은숙 Eun-Sook Shin.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