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들이 체육 수업 시간에 체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구

원문정보

Exploring students’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한상모, 유생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Grounded theory was employed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Twenty two boys and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emotional diary written by the participants for 4 months, were employed. As a result, 85 concepts, 28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raw data. Through axial cod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15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conditions that cause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were ‘interfering with peer activity’, ‘complaining about peer behavior’ and ‘negative verbal accusation’in core category. The natu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emphasize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was a reason that students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in contextual condition. ‘Being aware of surroundings’, ‘impulse to do something’, ‘social relationships’, ‘being aware of activity levels’ worked as mediating categories. Action/reaction strategies were ‘active and passive coping measures’. As a consequence, ‘negative perception toward class and peers’, ‘releasing unpleasant emotions’, ‘fortified effort to solve problems’ categories emerged. Th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might be called as the process of frustration and overcoming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한국어

본 연구는 경험적 자료에 근거하여 체육수업시간에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의 체험 과정과 그것이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trauss와 Corbin(1996)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2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약 4개월 동안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 체육정서 일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도출하여 나타난 범주들을 축코딩을 통하여 인과적 관계를 조사한 결과 원인적 조건은 ‘방해’, ‘동료에 대한 불만’, ‘부정적 언어’였다. 중심현상은 부정적 정서 체험으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협동과 경쟁이라는 체육수업 본연의 성격이었으며, 중재적 조건은 ‘주변을 의식하기’, ‘충동’, ‘사회적 관계’와 ‘수준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적극적인 대응’과 ‘소극적인 대응’이었으며 결과는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동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부정적 상태의 해소’,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생들의 체육수업과정동안의 부정적 정서체험 과정은 ‘불쾌하게 인식된 사건에서 비롯된 부정적 정서 경험과 대응을 통한 좌절과 극복’의 과정이라고 할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진실성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체육수업 체험에 관한 부정적 정서 이해
  2. 체육수업에서의 부정적 정서 체험 과정 분석
  3. 체육수업 체험에 관한 부정적 정서의 이론적통합 및 정교화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한상모 Han, Sang-mo. 신하초등학교
  • 유생열 Yoo, Seang-leol.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