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운동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및 학교만족도간의 관계

원문정보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in Exercise on Elementary Schoolers' Physical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임종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in accordance with participation in exercise, targeting elementary schoolers. Using SPSS 19.0 targeting 283 students in J, K, and H regions of Gyeongnam, th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detaile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like below. First, regarding physical self-efficacy, all the sub-factors of the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expressive confidence were increased as the number of exercise was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articipating in exercise, rather than groups not participating in exercise.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all th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sides physical self-expressive confidence, cognitive re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Third, in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perceived physical ability of physical self-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 on peer relation and teacher relation while showing no influence on school class relation. Also, the physical self-express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peer relation and teacher relation while showing no influence on school class relation. Thus, elementary schoolers' participation in exercise is an essential factor to raise physical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As physical self-efficacy has influence on ego-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also ego-resilience has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school, it would be necessary to more actively encourage physical activities to elementary schoolers.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및 학교만족도의 관계를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J, K, H 지역 28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SPSS 19.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운동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운동을 하지 않는 집단보다 운동에 참여하는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아탄력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신체적 자기 표현자신감과 인지관계, 대인관계에서만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 외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학교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신체 자기효능감의 인지된신체능력은 교우관계, 교사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교수업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신체자기표현감은 교우관계, 교사관계에는 정적영향을 미쳤으나 학교수업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초등학교학생의 운동 참여는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자아 탄력성과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탄력성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초등학생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권장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측정도구
  3.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4. 자료처리
 Ⅲ. 결과
  1. 기술분석
  2. 변인 간 상관 분석
  3. 중다회귀 분석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임종은 Lim, Jong-Eun. 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