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한국춤 내용요소 분석 및 과제 탐색 - 체육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Inquiry on the content and future task of Korean dance i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PE curriculum and textbook

송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future task of Korean dance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PE curriculum and textbook. Through the content and theoretical analysis, I classified content elements related Korean dance. And I figured out the meaning of Korean dance and suggested future task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dance education. Results are as follow. The expressive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consists of movement expression, rhythm expression, folk expression, and theme expression. Korean dance intensively distributed in 5~6 grades and folk expression area. The main contents of Korean dance are Sogochum, Talchum, and Ganggangsullae. Based on the results, I proposed some suggestions and research ideas for the quality da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포함된 한국춤의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고취시키기 위한 향후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대한 내용분석 및 문헌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표현활동 중 한국춤과 관련된 내용요소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내용을 주되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초등무용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한 한국춤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표현활동은 움직임 표현, 리듬 표현, 민속표현, 주제표현으로 구분되었으며, 한국춤은 5~6학년군, 민속표현 중영역의 신체활동 활용 예시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교과서에 가장 많이 포함된 한국춤관련내용은 소고춤, 탈춤, 강강술래의 기본동작을 익히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시기의 한국춤 교육은 무형문화재를 통한 우리나라 전통문화교육 장려, 유년기 조기교육을 통한 공연문화예술 인식 확대 등의 의의를 지닌다. 그러므로초등학교 무용교육과정에서의 한국춤의 교육적 의의를 고취시키기 위한 과제로서 한국춤의 전통적인 부분과 창조적 계승을 반영한 교육내용의 선정, 새로운 작품의 발굴과 선정, 한국춤 교육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 조성이 요구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1.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과 무용
  2.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한국춤 내용요소
  3. 초등무용교육과 한국춤의 발전을 위한 과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송미숙 Song, Mi-Sook. 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