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황사영 백서 불역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rench Translation of the Silk Letter of Hwang Sayeong

조현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chives of the Society of Foreign Missions of Paris possess an enormous amount of document about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Archives classify them into various volumes. In a volume assigned to the 577th number, were found some curious manuscripts, which are the French translation of the Silk Letter of Hwang Sayeong. But nobody knows who translated it, when it was made, how it be in the Archives. What is more, few scholar perceives the existence of that document. This article tried to uncover the identity of these manuscripts from various standpoint. First, in presuming the date of compilation of the volume 577th, we would measure the time when the French translation of the Silk Letter was brought up. The archivists who gathered the Korean documents and tied into a bundle, were Father Rouseille and Father Launey. The former, Father Rouseille worked in the archives from 1860 to 1872. We thought that the French translation of the Silk Letter arrived in Paris in the early 1860’s. If so, probably it was translated in 1859 in Korea. Second, we approached these manuscripts from the analysis of the formative aspect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olio, was written a phrase, “Pièce justificative d’histoire des martyrs.” It means a documentary evidence of the history of martyrs. This phrase was only marked in the manuscripts which Bishop Daveluy wrote about the Korean martyrs. And Bishop Daveluy reported in his letter that he obtained a very valuable book in his hands in the summer of 1859 and let the Silk Letter of Hwang Sayeong translated in french. So we could regard Bishop Daveluy as a translator or a commander of translation. Third, in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French translation and the descriptions of the work of Bishop Daveluy, we would verify the real author of the French translation. Consequently it is certain that the same person wrote two documents. The further to it, we make sure that Bishop Davely translated “the Sinner Sayeong’s silk letter” among the variants of the Silk Letter.

한국어

본고는 파리외방전교회 문서고 소장 한국 관계 문서철 제577권에 들어 있는 황사영 백서 불역본의 정체를 밝히기 위하여 여러 각도에서 접근하였다. 먼저 한국 관계 문서철 제577권의 편찬 연대를 추정함으로써 불역본의 성립 시기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래서 파리외방전교회 문서고가 한국 관계 문서들을 어떻게 정리하여 보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그 중에서도 일련번호가 붙은 문서철들을 누가 언제 편찬하기 시작하였는지를 다루었다. 결국 제577권의 편찬자는 루세이 신부이며, 그가 문서고 담당자로 활약하던 시기가 1860년부터 1872년이므로 황사영 백서 불역본도 1860년대 초에 이미 파리 본부에 도착하였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황사영 백서 불역본의 형태적인 측면을 분석하여 그 작성자를 추정하였다. 문서의 상단에 남겨진 “순교자 역사 증빙 문서”라는 구절은 다블뤼 주교가 보낸 순교자 역사 관련 자료들에 붙이던 주석이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다블뤼 주교는 1859년 여름에 조선 천주교 역사와 관련하여 귀중한 책자를 입수하였고, 황사영 백서도 구해서 번역하였다는 서한 기록을 남긴 바 있다. 그러므로 불역본의 형식을 볼 때 다블뤼 주교가 백서를 입수하여 번역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불역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다블뤼 주교가 작성한 것이 맞는지를 가려보기로 하였다. 황사영 백서 가운데 정약종의 행적에 대한 서술 부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백서 원본의 한국어 번역문, 불역본의 해당 구절, 《조선 순교자 역사 비망기》의 해당 구절을 나열하여 그 유사성을 대조하였다. 그 결과 동일 인물이 번역하였다고밖에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유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국 파리외방전교회 문서고 한국 관계 문서철 제577권에 들어 있는 황사영 백서 불역본은 다블뤼 주교가 1859년 여름에 황사영 백서 이본을 입수하여 불어로 번역한 것이라고 보았다. 아울러 그 번역 대상이 된 이본은 《동린록》에 수록된 〈사적 사영 백서〉와 동일하다는 점도 밝혔다. 그 이유는 황사영 백서 원본과 대조하였을 때 누락된 부분들이 불역본과 〈사적 사영 백서〉 양자에서 동일하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 관계 문서철 제577권에 대하여
 Ⅲ. 불역본의 형태적 특징
 Ⅳ. 불역본의 내용 구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현범 CHO, Hyeon Beom.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