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Korea Correctional Service of the Ministry of Justice has recently introduced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as a part of a convict correction and edification program with the purpose of seeking changes to current correctional paradigm. Alongside with the recognition that humanities education and the new correctional training programs would be effective in convicts' successful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as well as lead to the reduction in the recidivism rate, the scientification of correctional administration, such as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s, seems to have served as a momentum in promoting the changes to the correctional paradigm.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humanities, psychology, and cognitive science coupled with the new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correctional program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correctional treatment. In particular, the humanistic approach is a base for the correctional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humanistic corrections program for convicts' self-awareness and rehabilitation with the theoretical base in humanistic corrections. Our second aim was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First, we discussed the fact that the humanistic corrections program based on the contents of humanitie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is effective in changing convicts' values and ways of thinking. Second, we presented the definition of humanistic corrections, reflection on the penological philosophy, holistic human theory, ontological approach to good and evil, and humanistic approach to time and spac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correctional program. The humanistic corrections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12 sessions, 90 minutes each. Each session consists of topics, activity targets, activity contents, and materials. Each topic deals with overall issues in the humanities, ranging from 'Who am I?' to 'The issues of good and evil' and 'Beautiful life'. This program which consists of future-oriented contents is an activity-centered program where the outcomes are writings and drawings, rather than a series of lectures on theory.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objectively evaluate the outcome as the program was still in progress we attempted to get a provision assessment of the program. First, the development of a tailored program is needed with the consideration of age, personality, educational background, the type of crime, and the time in prison. Seco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s needed through promotion such as publishing a brochure. Third, a full-time instructor 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at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level for achieving professionalism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peration. Fourth and last, humanities education for the prison officers, volunteers, and correctional institution-related professions is needed to create a humanistic education environment.
한국어
최근 법부무 교정본부는 ‘집중인성교육’을 수형자 교정교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도입하면서 교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인문학 교육을 비롯한 새로운 교정교육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와 재범률 감소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전자기술 도입과 같은 교정행정의 과학화가 교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문학, 심리학, 인지과학 등 학제적 연구 및 교정 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접근은 교정 처우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사안이며, 특히 인문학적 접근은 교정교육의 바탕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문교정학을 이론적 근거로 수형자의 자기인식과 사회복귀를 위한 인문교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의의를 평가하고자 했다. 먼저, 문학, 역사, 철학과 같은 인문학의 콘텐츠를 바탕으로 하는 인문교정 프로그램은 수형자의 가치관 및 사고방식의 변화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인문교정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으로 인문교정학의 정의, 행형철학에 대한 반성, 총체적 인간론, 선과 악에 대한 존재론적 접근,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등을 제시하였다. 인문교정 프로그램은 모두 12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시당 90분으로 진행되며, 각 회기에는 주제, 활동목표, 활동내용 및 준비물로 항목이 구성되어 있다. 각 주제는 ‘나는 누구인가’로부터 ‘선과 악의 문제’, ‘아름다운 삶’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인문학의 전반적인 주제가 망라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으로 미래지향적인 내용으로 편성되었다는 점, 이론 강의보다는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이라는 점, 글과 그림과 같은 결과물을 갖는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전 과정이 진행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지만 잠정적으로 세 가지 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첫째, 나이, 성격, 학력, 범죄 유형, 복역기간 등과 같은 수형자의 특성들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홍보용 책자 발간 등을 통한 자발적 교육 대상자 모집이 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의 전문성과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교정기관 차원에서 전담 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문적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교도관, 자원봉사자를 비롯한 교정기관 종사자들에 대한 인문학 교육이 필요하다.
목차
I. 서론
II. 교정교육과 인문교정 교육의 필요성
III. 인문교정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1. 인문교정 프로그램의 이해
2. 행형철학적 접근: 응보주의 형벌론에 대한 반성
3. 유기적이며 총체적인 인간론
4. 선과 악에 대한 존재론적 접근
5. 논리적 접근: 생각하는 인간과 비판적 시민의식 형성
6.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7. 회복적 관점: 상호관계 능력 회복과 지역사회의 역할
IV. 인문교정 프로그램 개발
1. 프로그램 제목
2. 프로그램 개요
3. 프로그램 수행 목표
4.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5. 프로그램의 특징
6. 프로그램 상세 내용
7.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V. 결론: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