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regarding importance of special educators' competencies and need for inservice education. Responses were analyzed by variables such as teachers' work setting(special school, special class) and teaching experiences. 183 special educ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a list of 80 competencies (13 area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EC standards an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showed that all competency items were considered important for job performance and inservice training. Also, both in importance of competencies and in the need for inservice training, special educato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 according to work setting and degre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ervice training for special educators need to be refined in order to meet the unique needs of each teacher group and to maximize the effect of inservice training
한국어
교사는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육의 질 향상은 교사의 질 향상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수행에 있어 필요한 능력을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교사교육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 교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현직교육의 필요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배치환경(특수학교, 특수학급), 학력, 교육경력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앞으로의 현직교육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특수교육협회의 공통 수행 능력 기준을 바탕으로 13개 영역, 80개 문항으로 구성한 직무수행능력 목록을사용하여 183명의 특수 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 교사들의 직무수행능력 및 현직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배치환경, 학력, 교육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세부 결과들은 특수교육교사의 현직 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이다.
목차
II.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절차
III. 연구 결과
1. 특수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2. 현직교육의 필요도
VI. 논의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