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관광학전공 대학생의 산학실습 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초록
영어
The study aims to verify effect of controlling self-efficacy as well as impact of satisfaction of tourism-majored college students with field practice on their act of developing career.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248 fresh and junior students enrolled in five colleg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completing field practice, all of whom answe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under analysis involv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Questions regarding population statistical sampl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eld practice were under frequency and technical analysis.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o verify hypothesis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ield experience and measure factors such as act of developing career and identify effect of controlling self-efficacy. The result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for satisfaction with field experience, such factor as field experience has the sol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turned out that self-efficacy has controlling effect on content of field practice, efficacy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with field practice environment and act of developing career. Based on this result, we present suggestions. To generate efficient field experience for higher satisfaction, it is most important to give students accurate awareness of field practice programs and let them know that such experience is the opportunity to acquire new knowledge. To let the students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uch course before they take field experience in selecting occupation and taking career path, it is also important to introduce career counseling and get them to investigate busines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self-efficacy.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is one of few studies to substantiat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tourism-majored college students with field experience and their act of developing career as well as current status of field practic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관광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의 산학실습 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이들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경기도 소재 5개 전문대학교에 재학중이며 산학실습을 끝낸 1학년, 2학년 총 24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적 질문과 산학실습 관련 일반적 특성에 관련된 질문은 빈도분석 및 기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산학실습 만족도, 진로준비행동, 자기효능감의 측정변수들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산학실습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측정변수들 간의 가설검증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실습 만족도 중 산학실습 내용 요인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산학실습 내용, 산학실습 효용, 산학실습 환경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산학실습이 되기 위해서는 산학실습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라는 인식을 확실하게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산학실습 전에 본인의 직업선택과 진로에 있어 이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도록 진로상담과 함께 본인이 희망하는 업체에 대한 조사 및 희망 업체로의 실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진로목표설정과 함께 목표 달성을 위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예를 들어, 외부 업체 인사담당자 또는 관광업계 다양한 인사들의 초청강연과 특강, 재학생들의 관심 분야 직종에서 근무하고 있는 선배와의 멘토・멘티 프로그램 진행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나, 현재 산학실습 현황과 함께 관광학과 전문대학생들의 산학실습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초기 연구라는 중요한 의의가 있겠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2.1. Satisfaction with field experience
2.2. Self-efficacy
2.3. Career preparation behavior
Ⅲ. Study methodology
3.1. Study target
3.2. Study model and hypothesis
3.3. Operational definition
3.4. Data analysis
Ⅳ. Study result
4.1. Sample characteristics
4.2. Feasibility of measure variables and reliability analysis
4.3 Hypothesis verification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point
참고문헌(References)
국문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