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Social Support on School Maladjustm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victims and Assailants of School Violence

김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systems on school maladjustments among youth. And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systems,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assault and school maladjustm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hort, the school violence mediat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violence. A total of 523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t were deemed suitable for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family and friends of social support system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Secondly,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assault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Thirdly, friends of social support system had a negative effect on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assault. Fourthly,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assault fully mediated the friends of social support and school maladjustment. We conclude that friends of social support system have an import role to play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ce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어

이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 친구,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부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둘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이 학교생활 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9월 16일부터 25일까지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전자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523명의 질문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교사, 친구들과의 관계가 학교생활 부적응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한 결과 친구지지만 학교생활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적 유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가족과 교사지지는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련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를 경험하는 청소년이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주는지 검토한 결과, 학교폭력 가해를 한 청소년만 학교생활을 부정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친구와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를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 가해경험보다 피해경험에 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친구지지만 학교생활 부적응에 직접적 그리고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통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청소년기 친구로부터 긍정적인 지지를 받고 관계가 좋다고 인식하면 할수록 학교폭력을 가해 할 가능성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에 대한 부적응인 행동을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행동을 예방하고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가 친구로부터의 긍정적인 지지 형성임을 밝혔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지지
  2. 학교폭력 가·피해 경험
  3. 학교생활 부적응
  4.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주요변인의 측정
 Ⅳ. 분석결과 논의
  1. 측정모형 분석
  2. 연구모형 수정 및 최종모형 분석
  3. 매개효과 분석
 Ⅴ. 분석결과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미선 Kim, Mi-S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예방 대안교육지원센터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