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for giving better lives to people about crime prevention. To do this, the relationship which is between police officers’ bullying and self-esteem about job attitude has to verify regulation effect. And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metal health should be healthy. The results, which were of conducting information of 260 police officer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earch is shown that bullying doesn’t affect on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after analyzing the hypothesis Police officers self-esteem will regulate bullying and job attitude. Second, the hypothesis Police officers self-esteem will regulate bullying and job attitude has been partially confirmed. In the other words, the study has shown that self-esteem does not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and turning over as a regulation effect but it does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the regulation effect of bullying and job attitude is meaningful in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This can be also known as one of the causes which doesn’t decrease bullying in job comparing the police officers who are higher self-esteemed to the police officers who have lower self-esteem.
한국어
본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직장 내 집단따돌림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효율적인 인적관리와 경찰관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경찰조직의 성과를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경찰관의 심리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여 범죄예방과 관련하여 국민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60명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관의 자기존중감이 직장 내 직무따돌림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다. 라는 가설검증 분석결과 직장 내 직무따돌림이 직무태도인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은 조절효과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찰관의 자기존중감이 직장 내 인간관계따돌림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다. 라는 가설검증 분석결과 부분적으로 가설이 지지되었다. 즉 인간관계따돌림과 이직의도 사이에서는 자기존중감이 조절효과로써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인간관계따돌림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는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 내 인간관계따돌림과 직무태도 간의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도에서만 유의미하며, 이는 자기존중감이 높은 경찰관이 자기존중감이 낮은 경찰관에 비해 직장 내 집단따돌림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설계 및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