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본권으로서 인간다운 최소한의 생존보장의 요구권 - 유럽연합의 기본권 헌장 제34조 그리고 독일 기본법 속에서의 보장에 대한 검토 -

원문정보

Right to Ensure Subsistence Minimum Corresponding to Human Dignity as Constitutional Rights - Analysis on Article 34 in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and Guarantee in the German Basic Law -

박진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re can be found constitutional soild ground to strengthen solidarity of social disadvantaged people in social state, which exists for their living and is being mantained through their solidarity? With regard to it a good example for comparative constitutional law study is discovered in Articel 34 in the Charter of Fundamenta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ruling of the German Consitutional Court in Hartz Ⅳ case coferring right to ensure subsistence minimum corresponding to human dignity as constitutional rights. In the Hartz Ⅳ decision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create right to guarantee subsistence minimun corresponding to human dignity as an individual’s enforceable constitutional rights carefully. This right can be inferred from human dignity in Article 1 of the German Basic Law in combination with the social state principle in Aricle 20 of the German Basic Law. It is very useful for us to search for comparative constitutional interpreatation for social rights to make normative force of right to live in existence fit for human being in artice 34 in the Korean Constitution more stronger. I think it will be interesting and promising work.

한국어

사회적 약자들의 인간다운 최소한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국가(Sozialstaat)는 이들의 연대성(Solidarität) 보장을 통해서 실현된다. 그렇다면 이들의 연대성의 기반이 되는 최소한의 생존보장을 실현하기 위한 헌법적 근거를 어디에서 찾아야만 하는가? 독일연방헌법재판소(Bundesverfassungsgericht)는 2010년 2월 9일의 사회법률의 제2편(Zweites Buch Sozialgesetzesbuch(SGB)), Hartz Ⅳ-법률(Gesetz)에 의한 정기적 급여(Regelleistung)에 대한 자신의 결정 속에서 이전의 판례들과 연계해서 기본법 제20조 제1항과 결부된 기본법 제1조 제1항에 근거한 인간다운 최소한의 생존을 위한 기본권(Grundrecht auf Gewährleistung eines menschenwürdigen Existenzminimum)을 도출해 내었다. 우리 헌법 제34조의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은 단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최소한의 생존보장만을 포함하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헌법 제34조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가 어느 정도까지의 최소한의 생존보장을 규정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헌법이론적인 해석기준 뿐만 아니라 헌법재판소나 법원의 판례를 통한 실무적인 헌법해석기준 역시 우리나라에서는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의 기본권 헌장(Charta der Grundrechte der Europäischen Union) 제34조의 사회적 안전(soziale Sicherheit)과 사회적 지원(soziale Unterstützung)의 보장 그리고 독일에서의 기본권으로서 인간다운 최소한의 생존보장을 위한 기본권의 보장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우리 헌법 제34조 인간다운 생활을 권리의 구체적 권리로서의 보장실현에 기여하는 매우 중요한 비교헌법적 연구가 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유럽연합의 기본권 헌장 속의 사회적 안전과 사회적 지원의 보장
 Ⅲ. 독일 기본법상의 기본권으로서 최소한의 생존보장의 요구권
 Ⅳ.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Hartz Ⅳ 판결에 대한 검토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진완 Park, Zin Wan.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Susanne Baer, Das Soziale und die Grundrechte, NZS 2014, S. 1 ff.
  • 2Franziska Drohsel, Sanktionen nach dem SGB Ⅱ und das Grundrecht auf ein menschenwürdiges Existenzminimum, NZS 2014, S. 96 ff.
  • 3Matthias Herdegen, Theodor Maunz/Günter Dürig, Grundgesetz-Kommentar 73. Ergänzungslieferung, München 2014, Art. 1 Abs. 1.
  • 4Hans D. Jarass, EU-Grundrechte, München 2005.
  • 5Hans D. Jarass, Charta der Grundrechte der Europäischen Union, 2. Aufl. München 2013.
  • 6Ingrid Leijten, The German Right to an Existenzminimum, Human Dignity, and the Possibility of Minimum Core Socioeconomic Rights Protection 16 German Law Journal 23-48 (2015).
  • 7Anne Lenze, Die Gewährleistung des Existenzminimums von Kindern im föderalen System, NZS 2010, S. 1 ff.
  • 8Von Prof. Dr., Darmstadt
  • 9Thilo Marauhn, in: Sebastian M, Heselhaus/Carsten Nowak (Hrsg.), Handbuch der Europäischen Grundrechte, München 2006, § 22.
  • 10Angelika Nußberger, in: Peter J. Tettinger/Klaus Stern (Hrsg.), Kölner Gemeinschafts-Kommentar zur europäischen Grundrechte-Charta, München 2006.
  • 11Beate Rudolf, Jürgen Meyer (Hrsg.), Charta der Grundrechte der Europäischen Union, 4. Aufl., Baden-Baden 2014, Art. 34.
  • 12Matthias Schnath, Das neue Grundrecht auf Gewährleistung eines menschenwürdigen Existenzminimums – Ein rechtspolitischer Ausblick nach dem Urteil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vom 9. 2. 2010 –, NZS 2010, S. 297 ff.
  • 13Christian Seiler, Das Grundrecht auf ein menschenwürdiges Existenzminimum, JZ 2010, S. 500 ff.
  • 14Helge Sodan, 같은이 (Hrsg.), Handbuch des Krankenversicherungsrechts, 2. Aufl. München 2014, § 2.
  • 15Maximilian Wallerath, Zur Dogmatik eines Rechts auf Sicherung des Existenzminimums: Ein Beitrag zur Schutzdimension des Art. 1 Abs. 1 Satz 2 GG, JZ 2008, S. 157 ff.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